|
사이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다. 6위의 병력편제는 성종 14년(995)에 제정된 것이지만, 州縣軍租에 기재된 보승군과 정용군 수는 仁宗代에서 고종대 사이의 어느 시기에 조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仁宗代에 이미 군역제도가 크게 붕괴된 것
고려 성종 고려, 성종 병력편제, [고려 성종, 고려, 성종, 성종 세력, 병력편제, 향직개편, 배향공신, 국자감]고려 성종의 세력, 고려 성종,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태조대의 경군
(1)태조대 경군의 규모
(2)태조대 경군의 편제
2) 2군 6위제의 성립
(1) 6위와 2군의 설치
(2) 2군 6위의 임무와 병력편제
3) 중앙군의 인적 구성에 관한 제설
(1)부병제설
(2)군반씨족제설
(3) 경·외군 혼성제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편제상 그 병력 규모가 4만 5천 명이었다. 그러나 당대 개경지역의 인구사정이나 주택사정으로 보아 그렇게 많은 수의 전업적 군인들이 밀집해 살수가 없었다. 이점 역시 中央軍의 일부만이 개경에 거주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中央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3.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편제된 병력을 갖고 전면적으로 38선 전역을 돌파·남진했다는 점은 의문의 여지가 없었다. 그리고 이 같은 전면공격이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조직되었다는 점도 확실했다. 대규모 전면전의 준비라는 측면에서 볼 때 북한의 전면 공격, 즉 남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400원
- 등록일 2012.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병력의 부족 등이 있다. 또 하나에 주목하자면 조선의 정묘호란 이후의 대비가 생각보다 미흡(未洽)했다는 점이다. 인조가 장만, 정충신, 남이흥의 건의를 받아들여 상비군 편제를 확충했다는 점과 속오군 활성화를 위한 영장제 실시는 높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2.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