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군사제도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고려의 군사조직

1. 중앙군

2. 지방군

Ⅱ. 고려 군사제도의 성격

1. 부병제설
1) 부병제설에 대하여
2) 부병제설에 대한 비판과 문제점

2. 군반씨족제설
1) 군반씨족제설에 대하여
2) 군반씨족제설에 대한 비판과 문제점

3. 경·외군혼성제설

Ⅲ. 결 론

본문내용

에서 番上入役하는 농민층 (외군)등 두 종류의 군인층으로 편성되어 있었으리라는 가설이 그것이다.
이러한 절충적 가설의 논거로서 다음 몇 가지가 지적되고 있다. 우선 전시과 제도상으로는 분명히 馬軍·步軍·監門軍 등의 군인들이 소정의 軍人田을 받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中央軍 전체에게 규정된 면적의 軍人田을 주려면 전국의 농토를 다 합쳐도 태부족이었다. 이것은 軍人田을 지급 받는 군인들이 中央軍 가운데 일부였음을 의미한다. 또한 2軍·6衛의 中央軍은 편제상 그 병력 규모가 4만 5천 명이었다. 그러나 당대 개경지역의 인구사정이나 주택사정으로 보아 그렇게 많은 수의 전업적 군인들이 밀집해 살수가 없었다. 이점 역시 中央軍의 일부만이 개경에 거주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中央軍이 京軍과 外軍으로 혼성되어 있었음은 거의 확실하다는 것이다.
中央軍이 京軍과 外軍의 두 계층의 군인들로 구성되었으리라는 점은 2軍·6衛 각 부대의 任務 분석을 통해서도 엿볼 수 있다. 앞서 지적하였듯이 2軍·6衛의 임무는 크게 두가지 범주로 구분된다. 하나는 左右衛·興威衛·神號衛등에 부과된 국경지대 경비(防戍)의 임무이며, 다른 하나는 鷹揚軍과 龍虎軍, 金吾衛·天牛衛, 그리고 監門衛 등이 전담한 친종과 근장·치안·성문수위 등의 임무였다. 전자는 다수의 農民軍들이 윤번제로 수행할 수밖에 없는 군역이었던 반면 후자는 개경 거주의 비교적 특정한 계층의 군인들이 전업적으로 수행해야 할 군역이었다. 즉 中央軍에는 부역으로서의 군역을 짊어지는 군인들과 직역으로서의 군역에 종사하는 군인 등 크게 두 부류의 군인층이 있었다고 이해된다.
中央軍의 이중적 구성설은 고려 전기 지방행정제도의 발전과정과도 잘 부합되는 것 같다. 주지하다시피 고려 초기의 국가권력은 지방사회에 상주 지방관도 파견하지 못할 정도로 미약하였다. 그러나 중국식의 집권적 국가체제를 모델로 하여 통치제도를 크게 개혁한 成宗代에 이르러서는 12군 군 절도사제가 시행되는 등 지방사회에 대한 정부의 軍事 行政的 통제력이 획기적으로 강화되었다. 그리고 그 결과 지방사회의 우수한 農民軍들이 대거 중앙정부의 직접적인 통제 아래 들어오게 되었을 것이다. 성종 14년경에 38領 규모의 中央軍 조직(6위)이 성립될 수 있었던 것은 기본적으로 이러한 사태의 진전을 배경으로 했을 것이다. 따라서 成宗代의 6위는 太祖代 이래 경성의 토박이 군인들(京軍)과 새롭게 편입된 지방 농민군(外軍)의 두 가지 군인층으로 편성되었으리라는 것이다.
고려 전기 中央軍의 인적 구성이 이중적이었음은 中央軍으로 선발된 군인들의 신분분석 결과 좀 더 구체적으로 확인되었다. 2軍·6衛의 실제 병력규모는 편제상의 그것보다 거의 언제나 부족했다. 中央軍의 병력 수는 전란을 겪고 나면 크게 줄어들었고 그 같은 병력 부족의 현상은 평상시 도망군들이 속출함으로써 만성화되었다. 때문에 정부는 選軍都監이라는 관청을 설치하여 수시로 中央軍의 결손을 보충하기 위해 군인을 선발(選軍)하였다. 그러면 選軍都監에서는 어떤 계층의 사람들을 선발하여 中央軍에 편입시켰던 것일까. 법제상으로 6품 이하의 양반 및 일반 양인(白丁)들의 자제가 모두 選軍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5품 이상의 자제라든지 향리, 왕족 및 공신의 후손들 심지어는 역을 부담하는 천인(有役賤口)까지도 선발되어 中央軍으로 보충되고 있었다.
Ⅲ. 結 論
지금까지 府兵制說과 軍班氏族制說, 京·外軍混成制說에 대해 알아보았다.
고려 전기 中央軍이 京軍과 外軍으로 편성되어 있었다는 가설 하에서는 '京軍'과 '州縣軍'에 대한 해석이 종래의 그것들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은 수 없다. 특히 지방군 조직으로서의 주현군에 대한 부정은 고려전기 군사조직에 대한 전반적 구도를 크게 바꾸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州縣軍이 州鎭軍과 같은 의미의 地方軍 조직이었다는 통설은 몇 가지 구체적 수준의 연구결과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중앙군의 인적 구성이 2중적이었다는 사실만 가지고서는 그러한 통설을 부인하기가 불충분하다. 즉 경·외군 혼성제설의 관점에서 주현군 자체를 구체적으로 다시 검토하고 해석하는 일이 요구된다. 그런 의미에서 京·外軍 混成制說은 하나의 새로운 결론을 제시하는 동시에 새로운 문제를 제시하는 가설이다. 앞으로도 결론이 날 때까지 끊임없이 연구 대상이 될 것이다.
【 참고문헌 】
邊太燮 <韓國史通論> (三英社, 2000)
李基白 <高麗兵制史硏究> (一朝閣, 1997)
朴龍雲 <高麗時代史> (一志社, 1999)
<韓國史> (국사편찬위원회, 1993)
  • 가격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01.22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0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