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악제가 모두 불타버렸으나 이 책만은 되찾아 1610년(광해군 2)에 복간되고, 그 후 55년(효종 6)과 1743년(영조 19)에 각각 중간되었다. 1933년에는 고전간행회에서 이 책을 영인, 간행하였다. 1. 악학궤범 [樂學軌範]
2. 성현 [成俔, 1439~1504]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현(成俔)은 “이것은 정선(精選)한 것이 아니고 유취(類聚)한 것이다.”라고 하였고, 이수광(李邈光)도 “≪동문선≫의 채선(採選)은 범위는 넓으나 주선자(主選者)의 좋아하고 싫어함에 따라 취사(取捨)되었다.”며 공평성이 부족함을 비평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현(成俔)의 《용제총화(傭齋叢話)》에는 그 지방에서 잘 자라고 맛이 좋으며 알이 큰 과일을 소개하고 있다. 정선에서는 배나무, 영춘의 대추나무, 밀양 밤나무, 함양 감나무라 적고 구례에서는 동백나무가 잘 자란다고 했다. 지금도 화엄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현(成俔 : 1439~1504)의 악학궤범(樂學軌範)에 나례에서 연행한 것으로 기록하고 있는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의 오방처용무(五方處容舞)와 함께, 현존하는 탈놀이의 오방신장무과장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구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현(成俔)의「용제총화( 齊叢話)」권7의 '활자' 조(條)에는 주자법(鑄字法)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주자지법(鑄字之法>
이외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종류의 금속활자가 주조(鑄造)되어 서적의 인출(印出)에 사용되었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