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은 현무이며 12지신 중 쥐를 배치하였고, 남쪽에는 주작과 말 등을 배치하여 근정전을 지키도록 하였다. 동쪽은 청룡과 토끼, 소, 뱀을 서쪽은 백호와 원숭이 등을 배치하였다.
궁궐을 지키고 왕을 수호하는 역할을 맡은 오방신과 12지신들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띠고 있다. 특히 오방신상, 삼불제석, 부처님 등이 그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도상에서도 인간적인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삼불제석의 경우 부처의 상으로 그려지기도 하나 고깔모자를 쓴 스님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띠고 있다. 특히 오방신상, 삼불제석, 부처님 등이 그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도상에서도 인간적인 모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삼불제석의 경우 부처의 상으로 그려지기도 하나 고깔모자를 쓴 스님상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리는 고조선시대부터 이미 모셔왔고, 지금까지 무속이나 민속에서 중요한 신격을 차지하고 있다.
오방신장(五方神將)을 보면 동쪽은 청제장군(靑帝將軍), 서쪽은 백제장군(白帝將軍), 남쪽은 적제장군(赤帝將軍), 북쪽은 흑제장군(黑帝將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오방신상을 만든 다음 12명의 유가명승들에게 비법을 쓰도록 하였다. 그러자 전투가 시작되기도 전에 풍랑이 크게 일어 당나라 군대의 배가 침몰되었다고 한다. 그뒤 정식으로 절을 짓기 시작하여 5년 만에 완공하여 사천왕사라 이름하고 성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