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는 ‘帝祐’로 되어 있다.
大蛇御鵲 楊之揚
聖孫將興 爰先嘉祥
<용비어천가> 제7장에서 중국 고사의 주체는 주나라 ‘문왕’이다. 주 문왕이 집에 있었는데, 붉은 새가 글을 물고 그의 침실 문에 앉았다. 그 글은 “의리를 지키는 자는 흥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비어천가」의 구성을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김문기, 위의 글, 5-11쪽
章
起承轉結
歌詠
六祖
중심 내용
제1장
起
總敍
天命에 의한 개국
제2장
承
序詞
王業의 深遠함
제3장-제16장
1차 歌詠
제3장 : 穆祖
제4장-제6장 : 翼祖
제7장 : 度祖
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1장]
海東(해동) 六龍(육룡)이 샤 일마다 天福(천복)이시니
古聖(고성)이 同符(동부)시니
해동(우리나라)의 여섯 용이 날으시어서, 그 행동하신 일마다 모두 하늘이 내리신 복이시니,
그러므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7장 문학의 이해
제8장 한국 현대시 개관
제9장 시인의 현실과 자연
제10장 한국 현대소설의 흐름(1)
제11장 한국 현대소설의 흐름(2)
제12장 1930년대 소설개관
제13장 한국 희곡문학의 역사적 이해∙수필의 성격
제14장 언어
|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