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부권을 행사한 경우에도 자유심증주의의 예외에 해당한다.
4. 자유심증주의와 in dubio pro reo의 원칙
자유심증주의에 의한 증거평가의 결과 법관이 확신을 가질 수 없어 범죄사실이 증명되지 아니한 때에 적용되는 원칙이 in dubio pro reo(의심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7.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유심증주의(上), 고시연구(1984 11), 25쪽 참조.
4) 인과법칙과 자유심증주의
_ 법관은 경험법칙의 존부가 전문가들 사이에서 일반적 승인을 얻지 못하고 논란이 되고 있거나 과학적 탐구를 통해 아직 확실하게 입증되지 않은 경우에 그 경험법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유판단의 기준
(1) 의의
자유심증주의에 있어서 '자유'가 곧 '자의(恣意)'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사실 인정이 법관의 전단이 되어서는 안된다. 사실인정은 일반인이면 어느 누구도 의심하지 않을 정도로 보편타당성을 가져야 한다. 이러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리가능케하는 자유심증설타당하다. 자유심증설이 증명방해예시규정인 349, 350조 등의 문언해석에 부합하며, 자유심증설 채택하면 증명방해대해 제재가할 경우에도 자유심증주의가 적용되는 것이고 예외라고 할 필요없게 된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8.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3. 자유심증주의와의 관계
in dubio pro reo 원칙은 자유심증의 결과 법관이 유죄의 확신을 가질 수 없는 경우 에 적용되므로 자유심증주의를 제한하는 원칙이 아니라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원칙 이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