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문
2. 소전의 등장
3. 예서(隸書)의 등장
4. 대량의 서예이론과 비평서 등장
5. 서예의 번성기
6. 주관성 강조의 시기
7. 원대 서예의 대표자 - 조맹부(趙孟頫)
8. 낭만적 사조의 중시 시기
9. 회화적 분위기의 흡수 시기
< 참고 문헌 >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6.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맹부와 같은 고향출신으로 원에 출세하지 않고 평생 은거하였다. 인물, 산수, 화조화를 모두 잘 그린 명화가였으며 도연명, 노동, 임포 등 고대의 은사를 많이 묘사하였고, 은거의 정취를 반영하는 강남의 산수를 그렸다.
작품: <시상옹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6.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맹부우집개유기문개상여지상론야.이제현(李齊賢)의 평 : 충선왕(忠宣王)은 일찍이 다음과 같이 말한 바 있었다.“우리 태조(왕건)의 포부와 도량으로 만일 중국에 태어 났다면 송태조(宋太祖)보다 못하지 않았을 것이다. 송 태조는 주 세종(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09.1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맹부체를잘 썼으며 자기의 개성을 가미하여 독자적인 세계를 이루었다. 대표작으로 몽유도원도 발문이 있다.
·한석봉(1543∼1605) : 그의 글씨는 조맹부·왕희지체를 배워 독자적인 석봉체를 만들어 내었다. 중국에서도 그의 글씨는 호평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전반기>
송설체(원대 조맹부서체)
조선 중기
한호, 윤순, 이광사
조선말기
추사 김정희(1786-1857)
김정희 서와 회화 조선 중기
조선말기
김정희 서와 회화
김정희 <세한도>
김정희 회화
김정희 제자 : 조희룡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8.2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