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료해지거나 중언부언이 많았고 가사 1행을 5언으로 번역한 것은 생략이 많았다.
3.가사 1행을 7언으로 한역할 경우는 대개 앞 반행(제 1, 2음보)은 전사언으로, 뒷 반행(제 3, 4음보)은 후삼언으로 번역
특히 정현석의 <환산별곡> 한역가 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역하고 소악부를 지은 것은 우리 노래와 한시를 조화시켜 상호보완 하고자 노력한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조선조에 들어와서도 사정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훈민정음이 창제되기는 하였으나 상층문화 담당자인 사대부들은 한자를 진정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역이 후대의 傳承에 크게 기여하리라고 확신하고 있다.
鄭棹 이 외에도 송강의 후손들이 송강의 가사와 시조를 문자로 정착시키려는 노력을 아끼지 않았음을 宋達洙의 訓民歌跋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세상에 전하여 吟誦되는 <성산별곡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역제본에 대한 고찰
-Vajracchedik praj p ramit 와 비교하여-
Lee, Gun Jun
Master\'s Thesis
Dept. of Buddhist Studies
Dongguk University
般若部 經典들 중에서 대표적인 경전이 『金剛經』이다. 이 『金剛經』은 40종 이상의 飜譯本들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
- 페이지 96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역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후 시조의 한역에서 시조의 형식구조를 살리면서 동시에 한시로서의 정제된 형태를 갖춘 대표적 양식으로 계승되었다. 그리고 周世鵬의 <飜曲>, 崔慶昌의 <飜方曲>, 鄭徹의 <棲霞堂碧梧歌> 등은 자신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