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건축사 -
한국 건축물 답사
(영암향교를 다녀와서...)
지정종목 : 문화재자료
지정번호 : 전남문화재자료 제126호
지정연도 : 1985년 2월 25일
소 재 지 : 전라남도 영암군 영암읍
교동리 256
시 대 : 조선
종 류 : 향교
크 기 : 면적 3,636㎡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0.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배치가 비좌우대칭균형을 이루는 것과 다른 점이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에는 역시 비대칭균형을 이룸으로써, 우리나라 전통건축의 공통적인 재치숫법을 보여주고 있다.
Ⅷ. 결론
중기 이후 향교는 점차 무력화되어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8.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 단지 지역적인 현상으로만 구분할 수는 없다. 김호일 , 『한국의 향교』 , 대원사 , 2000 pp.61-64
김해 향교의 경우는 정문 쪽으로 동재와 서재가 배치된 것으로 보아 전재후당(前齋後堂)의 배치 형태인 것 같다.
그리고 명륜당의 뒤쪽으로 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2.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향교의 건물 배치와 건물 구조, 건물 역할 들이 비슷하다는 것이다. 이는 서원과 향교 모두 성리학을 교육하던 곳이기 때문에 똑같이 유교의 영향을 받았고 불교의 건물과 달리 소박하고 유교적 성향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셋째, 향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립 교육기관 ‘향교(鄕校)’
향교란?
고려시대를 비롯하여 조선시대에 계승된
지방 교육기관으로서 국립 교육기관
(지방의 문묘와 그에 속한 학교로 구성, 고려시대-향학)
.
.
.
‘향교(鄕校)’의 건물배치
-4성: 배향공간으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8,400원
- 등록일 2013.10.2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