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석리 유적
소재지 : 충청북도 제천군 청풍면 황석리
시대 : 청동기시대
발굴연도 및 발굴기관
1962 ; 국립중앙박물관
1982~1983 ; 충북대학교 박물관
남한강 상류의 강안 충적대지 위에 있는 유적으로 1962년에 이미 18기의 고인돌이 발굴되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황석리 고인돌에서는 다수의 인골이 출토되어 잘 알려지지 않았던 청동기인들의 매장방식(葬法)과 청동기인들의 인류학적 수치 등이 새롭게 밝혀졌다.
충6호 고인돌은 충북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하였다. 충6호의 덮개돌은 편암으로 길이 26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적으로 발굴된 곳은 아래와 같다.
남한강유역 : 중원 지동리, 하천리, 단양금굴, 제천 계산리, 양평리 A지구, 양평리 B지구, 광의리, 황석리, 진목리, 명오리, 방흥리, 함암리, 단양 상시
금 강 유역 : 영동 유전리, 옥천 안터, 청원 아득이
내 륙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황석리식, 혹은 적량동식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더 의미가 있고 개념파악이 쉬울 것으로 여겨진다는 것이다.
요컨대, 지석묘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전되었지만, 지석묘의 형식분류는 학자들의 다양한 분류기준에 의해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황석리, 진목리 등 넓은 지역에서 출토되었다. 이를 총괄하여 西韓尖底形土器라 부르기도 한다.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궁산리, 평양 남경과 금탄리, 봉산지탑리, 암사동, 광주 미사리, 옹진 시도, 내평리 유적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빗살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