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의 감격과 함께 한글이 자주독립의 상징으로 부각되면서, 한자폐지와 한글전용이 구 체적인 운동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문교부는 상용한자 천자, 뒤에 추가한 천 3백자를 제 정했고, 1964년 9월에는 이것을 교과서에 노출시켜서 가르치게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훈민정음 이전의 글자 살이
(1)한자전래 ~ 한문표기
(2)고유명사의 차자 표기
(3)이두 (吏讀)
(4)향찰 (鄕札)
(5)구결 (口訣) 및 약체 (略体)
(6)한자 빌어 쓰기에 실패한 이유 - 한국어의 음절 수, 일본어와의 대비
2.훈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2.0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권재선,『바로잡은 한글』, 우골탑, 1994
김혜영,「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하여」,『人文科學硏究』, 제31집, 2008
남풍현,「訓民正音과 借字表記法과의 關係」,『國文學論集』, 제9집, 1978
安秉禧,『訓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2.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들어가며
Ⅱ. 훈민정음의 창제원리
1. 훈민정음 창제 이전
2. 훈민정음의 창제
1) 훈민정음 창제원리
2) 훈민정음 창제의 동기와 목적
3) 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반대
(1) 훈민정음 반대 상소
(2) 세종의 훈민정음 반대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8.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들어가며
Ⅱ. 한글의 창제 원리
1. 훈민정음 창제 이전
2. 훈민정음의 창제
1) 훈민정음이란?
2) 훈민정음의 구성
(1) 창제 당시
(2) 현재
3)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
(1) 자음과 모음의 원리
① 자음의 원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8.09.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