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절기와 술
우리 조상은 계절과 더불어 열두 달을 중심으로 여기에 해당하는 의미를 부여한 가운데 이웃과 함께 여흥을 즐기면서 생활해 온 민족이다. 세시풍속 중 음주와 관련되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음 열두 달은 모두 음력달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절기를 만들어 같이 썼다.
24절기 중 대체로 음력 월초에 오는 절기 12개(홀수 번호)만 절기라 하고 나머지 12개는 중기하고 하여 구별하기도 한다. 5일을 1후라하고, 3후를 1기라 하여 1년을 24기로 나눌 때 양력으로 월초에 있는 것을 절기라 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9.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절기
1. 정월
2. 이월
3. 삼월
4. 사월
5. 오월
6. 유월
7. 칠월
8. 팔월
9. 구월
10. 시월
11. 동짓달
12. 섣달
13. 윤달[閏月]
Ⅴ. 세시풍속과 띠(12간지)
1. 쥐
1) 쥐불놀이
2) 불싸움
3) 쥔쥐새끼놀이
2. 소
1) 쇠머리대기
2) 소먹이놀음
3.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2월 7일 또는 8일이고 태음력으로는 10월 중기, 소설을 지난 반달 후에 있게 된다. 이 시기에 눈이 많이 쌓인다는 뜻에서 이런 이름을 붙였는데 이 24절기는 원래 중국의 화북지방의 기상에서 이런 이름을 붙인 것이다. 그러나 눈이 많이 쌓이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래
B. 대강절의 생활
1. 대강절의 장식과 상징물
2. 대강절의 풍습
3. 대강절의 음식
C. 대강절기의 주일
- 대강절의 주일과 성구
Ⅲ. 결론
- 교회교육에서의 적용
Ⅳ. 참고문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