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도 주변해역 순시.
1965. 2.13.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오오끼) 독도 주변해역 순시.
6.22. 한일기본관계조약, 한일어업헙정 체결분쟁의 해결, 관한 교환공문(한일간의 분쟁은 외교경로를 통하여 해결. 독도 문제에 관한 언급 누락.)울릉도 주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7.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다.
2.각 해결방안에 대하여
(1).한일기본조약에 관하여
-명시된 바대로 무력적인 방책이 아닌 평화적인 방법을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2)일방당사국에 의한 해결
-관할권의 행사에 있어서 현재 우리나라는 독도에 대하여 관할권을 행사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10.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일합방 조약이 합법적이라고 발언함으로써 자신이 모처럼 진전시킨 과거사 반성의 의미를 크게 손상시켰다.
따라서 이 공동선언으로 한일 기본조약 제3조의 구조약에 대한 일본 측 해석에 변화가 생겼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를 한국측에 대하여 일방적으로 통고하게 되었다. 이석우 엮음, 『독도분쟁의 국제법적 이해』(학영사 , 2004)
이에 신한일어업협정을 촉구하며 울릉도와 독도의 어느선을 좌변으로 하고 울릉도와 일본의 오키섬 사이의 어느선을 우변으로 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일관계를 갈등으로 치닫게 한 주요원인이 되어왔다. 양국의 근본적인 역사관의 괴리는 14년간의 마라톤회담을 통해서도 해결되지 못한 채 1965년 한일조약과 부속협정에 의해 그대로 화석화되었다. 한일기본조약 체제는 역사청산문제를 여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