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건
Ⅱ. 난징대학살사건
Ⅲ. 제주43학살사건
Ⅳ. 315마산학살사건
1. 3.15마산학살사건의 내용
2. 불완전한 민주주의
1) 역사정신과 지배세력
2) 가해자 문제
3) 1960년대의 3.15 의거 정신 규정
Ⅴ. 광주518학살사건
참고문헌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건이다
2. “단선 단정”은 북한이 먼저 실시하였다
3. 이 사건은 명백한 반란이다
Ⅲ.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발발원인
Ⅳ.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무장투쟁론
Ⅴ. 제주 4 3항쟁(제주 4 3사건)의 기억
Ⅵ. 제주 4 3항쟁(제주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 4·3의 사회적 기억, 한국사회학, 2001
◎ 김익렬, 4·3의 진실, 전예원, 1994
◎ 노민영, 잠들지 않는 남도 - 제주도 4·3 항쟁의 기록, 온누리, 1988
◎ 박찬식, 제주4,3사건 관련 행형자료와 형무소 재소자,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2
◎ 양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주 4 ·3의 사회적 기억, 한국사회학회
2. 권귀숙(2002), 대량학살의 사회심리 :제주 4·3사건의 학살 과정, 한국사회학회
3. 이정석(2008), 제주 4·3사건을 기억하는 두 가지 방식, 한국어문학회
4. 정석균(2000), 제주 4·3사건의 진상, 국방부
5. 현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억으로부터 신생의 기억=대항기억으로의 이전, 아니 단순한 수평이동이 아니라 극적인 비상과 초월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그려볼 수 있다. 이것이 43 문화운동을 탐색해 봄으로써 얻게 되는 이론적 시사점이다.
Ⅱ. 제주 4 3사건 진상조사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