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장과 민주발전 및 국민화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돼 있다. ‘인권신장’과 ‘민주발전’, ‘국민화합’을 위해 희생자와 유족들의 명예를 회복시켜 준다는 것이다.
43희생자의 신고접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제주43특별법에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968년에는 8명(高在旭白樂濬申奭鎬柳光烈李丙燾李瑄根洪鍾仁金聲均)이 친일 기관단체 등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었다. 친일파가 독립유공자 심사를 했던 것이다. 43특별법에 규정된 각종 위원회 구성에서 가해자 측 입장에 가까운 이들이 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3특별법상의 희생자에서 제외한다면 이는 야만의 시대, 전근대 시대로의 복귀라고 밖에 달리 할 말이 없을 것이다.
더군다나 이들에게 공정하지 못한 군사재판을 가능케 한 것은 일제의 가혹한 식민통치를 가능하게 하였던 메이지헌법 하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3특별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2001년 3월2일부터 5월30일까지 추가접수 등 2차례에 걸쳐 사망자 1만751명과 행방불명자 3171명, 후유장애자 142명 등 모두 1만4028명의 희생자 신고가 접수됐다. 이 숫자에 대해 제주도는 최선을 다한 신고접수라고 주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3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국회 43특위 구성에 관한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하고 있었다. 제주대총학생회도 ‘제45주기 43항쟁 추모 및 청년 아라 계승대회’를 갖고 선언문을 통해 ‘43진상규명을 위해 도의회 43특위를 중심으로 특별법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8.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