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현
2. 국가주의
3. 인쇄술의 발달
Ⅳ. 종교개혁 전의 종교적 상황
1. 탁발 수도회
2. 교회의 분열과 성직자들의 타락
1) 성직자들의 성적 타락
2) 교황의 탐욕과 면죄부
3. 7성례 문제 - 종교개혁 시대
Ⅴ. 결론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2.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7성례
1215년 라테란회의에서 확정됨. 예수님의 사도들이 행한 것.
견진성사, 고해성사, 서품성사,혼배성사, 종부성사, 세례와 성만찬
카톨릭에서는 절대로 이혼을 인정하지 않는다.
1. 세례
카톨릭- 영세는 구원과 직결. 아주 중요한 것으로 여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7성례를 축소함
차이점(성찬)- 루터: 공제설(성찬에 그리스도의 몸이 임재한다.)
칼뱅: 영적 임재설(영적으로 임재한다.)
성경관
공통점 - 성경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성령의 내적조명이라고 여김
차이점- 루터: 성경에 우열을 내림(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9.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7성례를 사용한다): 이것을 성례라 함은 성경적이 아니다.
칼빈은 세례와 성찬이 신약성경에 제시된 성례전이라고 못 박고, 성례전을 결정하는 분은 오직 하나님이심을 강조한다. 칼빈은 성례의 뜻을 다시 정의함으로 그들의 주장을 반박한다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7성례
2. 개신교와 가톨릭의 차이
3. 칭의론
3.1. 칭의론의 정의
3.2. 종교개혁자들의 칭의
3.3. 로마 가톨릭의 칭의
3.4. 종교개혁자들과 로마 가톨릭의 비교
4. 종말론
4.1. 종말론의 정의
4.2. 하나님나라의 이해
4.2.1. 장소적 의미
4.2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