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시풍속
1) 이월 초파일
2) 그 밖의 날들
4. 3월의 세시풍속
1) 삼월 삼짇날
2) 한식
5. 4월의 세시풍속
1) 사월초파일
6. 5월의 세시풍속
1)단오
2)태종우
7. 6월의 세시풍속
1) 유두
2) 삼복
8. 7월의 세시풍속
|
- 페이지 3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7월 7일인데, 우리나라의 칠석은 음력 7월 7일이라는 점이다.
참고문헌
김용덕(1988), 칠월의 세시풍속, 통일한국
김명자, 세시풍속의 연구, 한국민속연구사
이강로(2000), 세시풍속과 민속놀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조후종(2002), 세시풍속과 우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속이 전역에 분포하는데, 이를 두레삼이라 한다. 이때 주인집에서는 음식대접을 하기도 하고, 혹은 편을 나누어 경쟁을 하여 진 편이 이긴 편에 음식대접을 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국립민속박물관 / 한국의 세시풍속, 서울 : 국립민속박물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세시풍속. 안혜숙. 신정. 2002
한국의 세시풍속. 황헌만. 학고재. 2001
♣목 차♣
1. 정월 p.1
2. 2월 p.9
3. 3월 p.10
4. 4월 p.11
5. 5월 p.11
6. 6월 p.13
7. 7월 p.14
8. 8월 p.15
9. 9월 p.16
10. 10월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9.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풍속이 있었으며, 죽에 넣는 새알심은 가족 구성원의 수에 맞춰 장수와 건강을 기원하였다. 동지는 작은 설로도 불리며, 새해를 준비하는 중요한 전환점의 의미도 지닌다.
(3) 세시풍속과 음식문화의 현대적 가치
오늘날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5.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