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NA가 움직이는 색깔변화에 따라서 나타나는 줄 알았는데 자외선을 통한 사진을 찍어 확인한다는 것을 알았다. 이번에는 전기영동 과정에서 무엇이 잘못되어야 결과가 안나오는지 그 이유를 생각해 보았다.
단백질을 크기 별로 나누는 전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2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Title: DNA sample PCR
2. materials: 2㎕ PCR buffer, 0.4㎕ dNTP(0.1㎕ each of dATP dCTP dTTP dGTP), 0.2㎕ primer (10㎕ each of primer, 0.1㎕ Taq polymerase, 16.3㎕ DW, 1㎕ template DNA, micro pipette, tip, micro tube
3. Purpose:
1) ds-DNA separation: high temperature (90도 이상) ss-DNA 로 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2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DNA 1λ를 149λ의 ddH2O에 희석하여 측정한다. 260nm에서 1이면 50㎍/ml, {O.D 260nm} over {O.D 280nm} =1.8이면 pure DNA로 본다. O.D를 측정하여 Sample 의 DNA농도를 결정하고 1㎍/ml이 되게 희석하여 보관한다.
③ 농도계산
⇒ 흡광도 측정 값 ⅹ희석비율(%)ⅹDNA측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4.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처리한 것, RNAse, BamHⅠ만을 처리해 single cut 한 것 및 RNAse, BamHⅠ과 XbaⅠ을 동시에 처리하여 Double cut 한 것을 전기 영동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sample에서는 오염된 chromosomal DNA와 RNA band가 관찰 되었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2.08.1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혈액세포를 다룬 두가지 sample 중 ⑫sample에서만 DNA band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 또한 결과가 완전히 상반됨으로 상층액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DNA를 함께 없앴을 가능성이 높고 RBC lysis buffer의 농도 조절에 실패해 과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3.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