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4 ml = s M × 45ml
∴ s = 0.01644
에서
logK = -4.1820
∴ K=6.5766×
= 이므로
∴ = 0.4933
② 0.05M 의 결과
i. 농도
의 농도: 6M, 의 농도: 0.05M
ii. 이온 세기
I = 6.05
iii. 활동도 계수
1st 의 값 ⇒ log=
∴ =0.4928
2nd 의 값 ⇒
적정에 사용된 KSCN의 양 = 7.3ml
0.1M × 7.3ml =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몰농도 (M)
이온세기
방법A의 이온세기
1
0.0772
0.0772
0
2
0.0784
0.1284
0.05
3
0.0848
0.1848
0.1
4
0.0896
0.2896
0.2
5
0.0956
0.5956
0.5
이온세기를 구할 때 AgAc의 농도를 무시하고 NaNO3의 농도만 생각하고 구한 data를 방법A라고 부르도록 하겠다.
√ NaNO3의 몰농도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온 세기를 나타내는 식은 다음과 같다.
이 식을 통해서 이온세기는 이온의 전하량이나 농도에 의해 값을 가진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에서 구한 이온세기 data 값에서 보듯이 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이온세기도 따라서 증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8.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온농도에서만
적용 가능한(2이상에서는 잘 들어맞지 않는다.)식이다. 계산한 바에 따르면
0.1M, 0.2M, 0.3M, 0.5M에서는 모두 이온세기가 0.1M보다 큰 값을 갖는다. 따라서
Debye-Huckel 식에 의해 값을 구하면 잘 들어맞지 않을 것이다. 0.1M 이상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19.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온세기(ionic strength)라고 하는 용액의 성질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온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이온세기 = μ =
여기서 [A], [B], [C]는 이온 A, B, C의 몰농도이고, ZA, ZB, ZC는 이온의 전하이다. 이제 이 식에 각 실험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1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