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athematica와 미분적분학, 경문사, 1996
4. 송만석, 장건수 편역, 수치해석학, 김영사, 1986
5. 정상권, 하성남, 수치해석, 경문사, 1997
6. D.Conte, C.de Boor, Elementary Numerical Analysis, McGraw-Hill,Inc. 1980
7. Eusebius Doedel, Numerical Analysis, Lecture Notes, 1999
8. N. Blachman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Mathematica Vol.10, No.2(1997)53-63.
남승인, 수학교육과 교사의 수학관, Proceedings of Math. Education, Vol.3, The 18th National Meeting of Math. Education(1995)185-193.
남승인, 교사의 수학관과 구성주의,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제2권 제1호(1998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08.09.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Mathematica에서는 LaplaceTransform이라는 함수와 InverseLaplaceTransform이라는 두 함수가 이러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들 두 함수는 내장함수가 아니라, 패키지에 들어 있는 것들이기 때문에 이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In[1]와 같이 LaplaceTransform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4.06.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Mathematica로는 우리는 먼저 을 얻고 단순화 명령으로 위의 표현식을 얻는다.
b) 도함수는 로 단순화 없이 나타내준다.
Maple이나 Mathematica로는 우리는 먼저
을 얻는다.
Mathematica의 인자명령 또는 단순화 명령이나, Maple의 인자명령을 사용하면 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Mathematic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벤츄리 미터 유량 계수의 값을 구함.
<D1=d1, A1=a1, D2=d2, A2=a2, g=g, Q=q, h1=h1, h2=h2, Cven=c>
d1, a1, d2, a2, g의 값은 고정 시키고 h1, h2, q의 값에 각각의 data값을 넣어 유량 계수 값을 구해 냄.
Mathematica 프로그램을 사용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6.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