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eady-state를 항상 가정 : 시간변화에 따른 대상의 변화는 없다. ⇒ 물질전달속도 = 효소반응속도
Js(moles/cm2sec)
KL(cm/sec) = D/δ : 용액의 점도와 분자량과의 함수.(molecular weight가 작을수록 빠르고, 효소 반응 용액의 점도가 낮아야 빠름.)
Js = Vp : stea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Steady-State Assumption을 적용하면
0=∆〈ρUAE+pUA〉- Q_H-W_s
0=∆〈ε+U^2/2+gh+p/ρ〉 - (Q_H ) ́-(W_s ) ́=d〈ε+U^2/2+gh+p/ρ〉 - (dQ_H ) ́-(dW_s ) ́
∴TdS-〖dQ ́〗_H+(dU^2)/2+g dh+dp/ρ=d(W_s ) ́
∴(dU^2)/2+g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6.16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steady-state assumption이라고 한다. 이를 통해 위의 두 식은 다음과 같아진다.
k1([Et]-[ES])[S] = k-1[ES]+k2[ES]
3> 이제 이 식을 [ES]에 대하여 푼다. 과정은 다음과 같다.
k1[Et][S]-k1[ES][S] = (k-1+k2)[ES]
k1[Et][S] = (k1[S]+k-1+k2)[ES]
여기서 (k-1+k2)/k1는 Michaelis constant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5.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