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세례의 신학적 의미
첫째, 세례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람이 되는데 필요한 결정적 사건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공적으로 시인하고 그와의 연합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성례전이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와 연합된 새로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9.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Baptism and Gift of the Holy Spirist, Chicago :
Moody Press, 1981.
B. 번 역 서 적
Barclay, W. 「바울의 인간과 사상」 서기산역. 서울 : 기독교문사, 1985.
Bavinck, J. H. 「선교의 성서적 기초」 김명혁역. 서울 : 성광문화사, 1983.
------ 「선교학 개론」 전호진역. 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1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of Baptismal Vow)
비록 세례를 받았다 하더라도 육신을 가지고 세상을 살면서 인간은 죄를 지을 가능성이 항상 있고, 세례가 도덕적 완전성을 확보해 주지 못하기 때문에, 교회는 때로 회중들에게 세례를 갱신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좋다.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of Disciple Ship. 편집부 역. 「제자의 삶」. 서울: 네비게이토출판사. 2002.
John R. Stott. Baptism and Fullness. 김현회 역. 「성령세례와 충만」.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2.
Oswald J. Sanders. The Holy Spirit and his gift. 권혁봉 역. 「성령과 그의 은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of Pardon)
10. 새 신자 영접 (Reception of New Members)
11. 서도 (Preface)
12. 성례전의 실제 (Practice of Sacraments)
13. 성례전의 집례를 위한 지침(Guideline of Administration of Sacraments)
14. 성물 봉헌 (Offertory)
15. 신앙고백 (Confession of Faith)
16. 신앙의 선포(Declarat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9.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