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김시습 금오신화 연구 - 작품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사] 김시습 금오신화 연구 - 작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김시습과 금오신화

3. 금오신화 작품 분석
1)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
2) 취유부벽정기
3) 남염부주지
4) 용궁부연록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감춘다.
「용궁부연록」의 주인공 한생은 글에 능하였으며 그 명성과 재주가 조정에 까지 알려질 정도였다는 점에서 김시습과 부합한다. 그러한 재주에도 불구하고, 세상에 나아가지 않고 산 속으로 자취를 감추는 마지막 모습 역시 그대로 부합한다. 그렇다면, 용궁에 가서 융숭한 대접을 받으며 자신의 재주를 뽐내고 많은 선물을 받았던 중간 부분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러한 한생의 용궁 체험은 김시습이 세종과의 만남을 표현한 것이라는 해석이 있다. 용왕은 세종을, 용왕의 궁이었던 수정궁은 경복궁을 지칭하고, 상량문을 쓴 것은 세종이 김시습의 재주를 시험한 것이며, 용왕으로부터 받은 선물은 세종이 김시습에게 내린 비단 오십 필의 하사품을 뜻하는 것이고, 용궁에서 본 신기한 기구들은 세종 때의 과학기구들을 의미한 것이라고 한다. 안창수, 「금오신화의 의미구조와 작가의식」, 영남어문학 제26집, 1994, 124쪽.
세상과 맞지 않아 평생을 고통스럽게 보내야 했던 김시습에게 있어서 세종의 부름을 받아 그 재주를 뽐낼 수 있었던 경험은 세상과 단 한 번 가졌던 화합의 장이었던 것이다.
한생은 꿈에서 깨어난 후 세상의 명예와 이익에는 생각을 두지 않고 명산에 들어가 세상을 마치는 데, 세상에 나아가 공명을 이루고 재주를 뽐내었던 일이 깨어보니 한갓 꿈에 불과했던 것이다. 이것은 삶에 대한 새로운 깨달음이며, 여기에서 다른 작품들과 구별되는 결말이 나타난다. 「만복사저포기」와 「남염부주지」의 주인공들 모두 세상을 등지는 것으로 결말을 맺고 있지만, 이것은 납득할 수 없는 세상에 대한 좌절과 같은 것이었다면, 「용궁부연록」의 주인공 한생은 비로소 세속적인 삶에 얽매이는 것이 부질없는 것이었다는 깨달음을 얻게 되는 것이다. 안창수, 위의 논문, 125쪽.
이것이 「용궁부연록」이 금오신화의 마지막 작품인 이유이자, 김시습이 금오신화를 통해 표현하고 싶었던 최종적 결론인 생의 유한함과 덧없음에 대한 고찰일 것이다.
4. 결론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소설집이자 전기소설의 커다란 도약을 보여주었던 금오신화를 전기소설적 관점과 김시습의 생애와 관련한 관점 등을 통해 살펴보았다. 김시습의 금오신화는 속의 이야기들은 단순한 애정소설, 전기소설일 뿐만 아니라 김시습의 삶에 대한 태도와 신념, 가치관과 그의 철학적 사상 등을 담아 유기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김시습이 후대에 이야기하고자 하는 삶의 이치와 그의 이상을 전하고 있다. 우리는 금오신화라는 한 권의 소설집을 통해 천재로 명성을 떨쳤으며 온갖 사상에 능통했던 김시습이 왜 그 뛰어난 재주에도 불구하고 평생을 방랑과 은거 속에서 세상과 어울리지 않고 지냈는지에 대한 해답을 얻을 수 있으며, 그의 삶과 생각과 신념, 가치관의 집약체를 만날 수 있는 것이다.
즉 금오신화는 단순 흥미 위주의 전기소설집이 아닌, 전기소설을 통한 김시습이라는 기인(奇人)의 삶을 총체적으로 드러내고 있으며, 여러 소설들이 유기적으로 모여 결국 하나의 결론으로 가고 있는 한 편의 완성된 작품으로 볼 수 있으며, 이런 점들 때문에 그 위상을 더욱 높이 평가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5. 참고문헌
최일범, 「매월당 김시습의 생애와 철학사상」, 사상 1996년 가을호, 1996
안창수, 「금오신화의 의미구조와 작가의식」, 영남어문학 제26집, 1994
이월영, 「초현실체험 분석을 통한 『금오신화』연구」, 국어국문학 제109권, 1993
문범두, 「매월당의 유가적 이념과 《금오신화》」, 한민족어문학 제30집, 1996
정병헌 외, 『한국고전소설의 이해』, 박이정,2012
김시습, 「양양부사 유자한에게 속마음을 토로하여 올린 편지」, 『길 위의 노래』, 돌베개, 2006,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2.03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12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