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미학이론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칸트 미학 이론의 성립배경

1. 사회적 배경 - 18세기 후반의 독일적 상황

2. 사상사적 배경 - 영국의 경험주의와 독일의 합리주의

Ⅲ. 칸트 철학 체계 내에서의 {판단력 비판}의 위치

Ⅳ. 오성과 이성의 매개로서의 판단력

Ⅴ. 미적 판단력 비판의 주요문제

Ⅵ. 맺는 말

본문내용

윤리적 가치 = 미적 가치로 상정함으로써 예술을 궁극적으로 도덕에 종속시켰다.
을 완전히 철폐시키게 되었다는 데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커다란 분기점을 긋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구분은 역으로 과학(적 가치)과 도덕에 대한 예술의 자율성을 웅변함으로써 낭만주의 미학의 출구를 열게 되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칸트 미학 이론이 갖는 중요한 의의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그의 취미론에서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전제를 이루고 있는 '무관심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본 글을 마치고자 한다. 이 무관심성의 개념은 주관적일 수 밖에 없는 까닭에 추상적인 면을 갖고 있다. 즉 어떤 사람이 미에 대한 판단을 내린다고 할 때, 우리는 그가 과연 무관심한 상태에 있는지, 어떤지를 알 수 없다. 또한 자기 자신도 그것을 증명할 수 없다. 그리고 무관심성으로부터 추론되는 보편성과 필연성도 역시 주관적이기 때문에 강요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단지 요청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다. 칸트는 연역의 과정을 통해 이를 정당화하려고 했지만 그것 역시 불완전한 상태에서 끝나고 있다.
이러한 미적 무관심성에 대해 아도르노는 "무관심적인 것이 아무래도 좋은 상태에 머물지 않기 위해서는 극히 강렬한 관심의 그림자가 수반되어야 한다"
T. W. 아도르노, 『미학이론』, 27쪽, 홍승용 역, 문학과 지성, 1984
고 날카롭게 지적하고 있다. 즉 미적 무관심성은 개별적인 충일보다는 그러한 개별적인 충일을 배제하지 않으면서도 무제약적인 쾌락의 가능성을 목표로 삼음으로써 그러한 관심을 확장한다는 것이다. 무관심성에 내재해 있으면서 변화된 모습으로 재생된 이러한 관심을 아도르노는 '예술향락' 혹은 '거세된 쾌락주의'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를 "예술작품의 사회적인 본질과 사회에 대해 반명제적인 본질 간의 좋지 못한 타협"
같은 책, 28쪽
이라고 지탄하다.
한편 무관심성의 이론들은, 인간의 내면적 도덕성에 기초한 개인을 바탕으로 하는 유토피아적 형식을 취하고 있다. 칸트에 있어서 행동의 도덕적인 판정기준은 오로지 선의지에 의존하고 있다. 그는 도덕적인 것을 심정의 주관적, 내면적 계기 또는 행동의 '동기'에서 파악할 뿐이다. 따라서 가능적인 행동결과들의 측면을 도덕성의 결정으로부터 차단한다. 미적 무관심성은 이러한 윤리적 측면과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오늘날 기술문명은 우리의 생활환경들을 너무나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까닭에 우리가 이제까지 물려내려온 질서들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기란 불가능하다. 과학의 기술적인 결과들로 말미암아, 우리가 작은 집단 내에서의 인간의 공동생활을 규정하고 다윈이 의미하는 바의 생존경쟁에서 집단들 간의 관계들을 관리하던 도덕적 규범들로써 만족하기란 더 이상 불가능한 그러한 사태가 인간 행동에서 벌어진 것이다. 한편 정치적인 권력의 신장은 개인적인 범죄등의 행위들을 참으로 약소한 것으로 만드는 대규모의 학살과 약탈을 끌어들였다. 이제 집단적인 이기심의 제어를 위하여 예술과 역사의 결합이 불가피하게 된 반면, 전통적인 미적 무관심성의 이론들은 예술을 고작 개인적인 이기심의 가능적인 대응물로밖에는 보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서 그 한계가 노정되고 있는 것이다.
1995 학년도 2학기
학사학위 청구논문
Kant에 있어서 美的 判斷力
지도교수 : 장 일 조 교수
한 신 대 학 교
철 학 과
8621041
이 재 심
목 차
Ⅰ. 머리말 ---------------------------------------- 1
Ⅱ. 칸트 美學 理論의 성립배경 ------------------------ 2
1. 社會的 배경 - 18세기 후반의 독일적 상황
2. 思想史的 배경 - 영국의 경험주의와 독일의 합리주의
Ⅲ. 칸트 철학 체계 내에서의 『判斷力 批判』의 위치 ---- 6
Ⅳ. 悟性과 理性의 매개로서의 判斷力 ------------------ 8
Ⅴ. 美的 判斷力 批判의 주요문제 --------------------- 10
1. 趣味 判斷의 4가지 계기
2. 美와 崇高
3. 美的 判斷의 演繹
4. 趣味의 二律背反
5. 道德性의 象徵으로서의 美
Ⅵ. 맺는 말 ------------------------------------- 24
참고 문헌
칸트, I. ;『판단력 비판』, 이석윤 역, 박영사, 1989.
칸트, I. ;『순수이성비판』, 최재희 역, 박영사, 1994.
카울바하, F. ;『칸트비판철학의 형성과정과 체계』, 백종현 역, 서광사, 1992.
코플스톤, F. ;『칸트』, 임재진 역, 중원문화, 1986.
휩스베르거, 요한네스. ;『서양철학사』, 강성위 역, 이문철판사, 1991.
스텀프, 사무엘 E. ;『서양철학사』, 이광래 역, 종로서적, 1994.
김광명 ;『칸트 판단력비판 연구』, 이론과 실천, 1992.
크로포드, D.W. ;『칸트 미학 이론』, 김문환 역, 서광사, 1995.
폰기벳, A.V. ;『순수이성비판의 기초 개념』, 이신철 역, 한울 출판사, 1994.
강대석 ;『미학의 기초와 그 이론의 변천』, 서광사, 1984.
비어슬리, 먼로 C. ;『미학사』, 이성훈, 안원현 역, 이론과 실천, 1987.
스톨니츠, J. ;『미학』, 김문환 역, 을유문화사, 1973.
김문환 ;『근대미학 연구(Ⅰ)』, 서울대 출판부, 1993.
오병남 ;『미학강의』, 서울대 미학과, 1989.
이종후 외 ;『미학입문』, 송원문화사, 1984.
딕키, 조지. ;『미학입문』, 오병남, 황유경 역, 서광사, 1991.
논장 편집부 ;『미학사전』, 논장, 1988.
김문환 ;『현대미학의 향방』, 열화당, 1987.
아도르노, T.W. ;『미학이론』, 문학과 지성사, 1984.
김용민 ;『판단력 비판의 연구』, 합동교재공사, 1989.
오병남, '칸트미학의 재평가', 『미학』14집, 한국미학회, 1989.
오병남, '美 ; 그 말과 개념과 이론', 『철학연구』제 20집, 철학연구회, 1985.
오병남, '미적 태도론의 성립과 현대미학의 문제',『미학』제 6집, 한국미학회, 1979.
박영선, '칸트의 『판단력 비판』에서 자연개념의 확장에서 나타나는 미적 판단의
역할', 『미학』 제18집, 한국미학회, 1993.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2.03.18
  • 저작시기20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