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이천지역 근대사 인물을 찾아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주·이천지역 근대사 인물을 찾아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명성황후 생가 및 탄강구리비(여주군 여주읍 능현리 250-2)
=> 민유중, 민정중, 민진후 묘소
=> 매산서원

2. 소설가 유주현 문학기념비(여주군 능서면)

3. 이천 내촌리 안동김씨 가옥
=> 안동김씨 묘역(김조순, 김좌근, 김병시 등)

4. 홍영식 묘소(경기도 여주군 흥천면 문장리 산82 )
=> 기천서원, 백사면 도립리 느티나무,

5. 최시형 묘소(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주록리 산96-16)

본문내용

워 효종을 도와 북벌계획(北伐計劃)을 적극 추진하였다. 또한 박세채(朴世采) 윤증(尹拯) 등 명신들을 조정에 천거하기도 하였다. 그는 글씨에도 뛰어났으며, 성품이 검약하여 지위가 재상직에까지 올랐어도 전답(田畓)이나 하인을 하나도 늘림이 없고 매우 검소한 생활을 해서 효종이 이를 늘 칭찬하였으며, 숙종 때 청백리(淸白吏)에 녹선(錄選)되었다. 여주(驪州)의 기천서원(沂川書院)에 배향되었고, 저서로는 《기천집(沂川集)》이 있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孝宗實錄, 顯宗實錄, 宋字大全, 國朝人物考
【관련항목】 김징(金借) 박세모(朴世模) 어진익(魚震翼)
5. 최시형 묘소(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주록리 산96-16)
최시형(1827~1898)선생은 조선 말 동학의 제2대 교조로서 초명은 경상, 호는 해월(海月), 본관은 경주이다. 봉분은 원형으로 호석을 둘렀으며, 봉분 앞 중앙에는 대리석으로 만든 상석향로석촛대석을 마련했고, 우측에는 옥개석과 장방형 비좌를 갖춘 대리석 묘비가 서있다. 묘비는 1980년 3월 21일 천도교 해월신사 묘비건립위원회에서 세운 것으로 이선근이 짓고 양재한의 글씨, 김한의 제자로 되어 있다.
최시형 1827-1898(순조27-?)
본관 경주(慶州)
자 경오(敬悟)
호 해월(海月)
5세 때 어머니를, 12세 때 아버지를 여의게 되어 어려운 유년기를 보냈고, 17세부터 제지소(製紙所)에서 일하며 생계를 도모하였다.
19세 때 밀양손씨(密陽孫氏)를 맞아 결혼한 뒤 28세 때 경주 승광면 마복동(馬伏洞)으로 옮겨 농사를 지었다. 이곳에서 마을 대표인 집강(執綱)에 뽑혀 6년 동안 성실하게 소임을 수행하다가 33세 때 자신의 농토로 농사를 짓기 위하여 검곡(劍谷)으로 이주하였다.
최제우(崔濟愚)가 동학을 포교하기 시작한 1861년(철종 12) 6월 동학을 믿기 시작하여, 한달에 3, 4차례씩 최제우를 찾아가 가르침을 받고 집에 돌아와 배운 것을 실천하고, 명상과 극기로 도를 닦았다.
1861년 11월 최제우가 호남 쪽으로 피신한 뒤 스승의 가르침을 깨닫고 몸에 익히기 위하여 보인 정성과 노력은 많은 일화로 남아 있다.
1863년 동학을 포교하라는 명을 받고 영덕영해 등 경상도 각지를 순회하여 많은 신도를 얻게 되었고, 이해 7월 북도중주인(北道中主人)으로 임명되어 8월 14일 도통을 승계받았다.
이해 12월 최제우가 체포되자 대구에 잠입, 옥바라지를 하다가 체포의 손길이 뻗치자 태백산으로 도피하였고, 이어 평해와 울진 죽변리에 은거하면서 처자와 최제우의 유족을 보살피다가 동학의 재건을 결심하고, 교인들이 많이 살고 있는 영양(英陽)의 용화동(龍化洞)으로 거처를 정하였다.
이곳에서 1년에 4회씩 정기적으로 49일기도를 하고 스승의 제사를 지내기 위한 계를 조직하여 신도들을 결집시켰고, 경전을 다시 필사하고 편집하여 신도들에게 읽게 하였다.
이와같은 교세의 재건은 1871년(고종 8) 진주민란의 주모자인 이필제(李弼濟)가 최제우의 기일(忌日)인 3월 10일에 영해부(寧海府)에서 민란을 일으킴으로써 다시 탄압을 받게 되었다.
관헌의 추격을 피하여 소백산으로 피신하면서 영월인제단양 등지에서 다시 기반을 구축하여 1878년 개접제(開接制), 1884년 육임제(六任制)를 마련하여 신도들을 합리적으로 조직하고 교리연구를 위한 집회를 만들었다.
1880년 5월 인제군에 경전간행소를 세워 《동경대전 東經大全》을 간행하였고, 1881년 단양에도 경전간행소를 마련하여 《용담유사 龍潭遺詞》를 간행하였다.
이와같이 신도의 교화 및 조직을 위한 기틀이 마련되어 교세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됨에 따라 1885년 충청도 보은군 장내리로 본거지를 옮겼다.
동학교도들의 활동이 활발하여지자 그에 따른 관헌의 신도수색과 탄압이 가중되었는데, 동학의 교세도 만만하지 않게 성장하여 1892년부터는 교조의 신원(伸寃)을 명분으로 한 합법적 투쟁을 전개하여 나갔다.
제1차신원운동은 1892년 11월 전국에 신도들을 전주 삼례역(參禮驛)에 집결시키고, 교조의 신원과 신도들에 대한 탄압중지를 충청도전라도관찰사에게 청원하였으나 여전히 탄압이 계속되자 1893년 2월 서울 광화문에서 40여명의 대표가 임금에게 직접 상소를 올리는 제2차신원운동을 전개하였다.
정부측의 회유로 일단 해산하였으나 태도가 바뀌어 오히려 탄압이 가중되자 제3차신원운동을 계획, 3월 10일 보은의 장내리에 수만명의 신도를 집결시켜 대규모 시위를 감행하였다.
이에 놀란 조정에서 선무사 어윤중(魚允中)을 파견, 탐관오리를 파면하자 자진 해산하였다. 당시 많은 신도들은 무력적인 혁신을 위하여 봉기할 것을 권유하였으나 시기상조임을 이유로 교세확장에 몰두하였다.
그러나 1894년 1월 10일 전봉준(全琫準)이 고부군청을 습격한 것을 시발로 하여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신도들의 뜻에 따라 4월 충청도 청산(靑山)에 신도들을 집결시켰고, 9월 전봉준이 다시 봉기하자 적극 호응하여 무력투쟁을 전개하였다.
일본군의 개입으로 1894년 12월말 동학운동이 진압되자 피신생활을 하면서 포교에 진력을 다하였고, 향아설위(向我設位)삼경설(三敬說)이심치심설(以心治心說)이천식천설(以天食天說)양천주설(養天主說) 등의 독특한 신앙관을 피력하였다.
1897년 손병희(孫秉熙)에게 도통을 전수하였고, 1898년 3월 원주에서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 6월 2일 교수형을 당하였다.
그의 신관은 범신론적내재적 경향을 띠어 하느님을 인간과 동일시하며, 나아가 만물과 동일시하기 때문에 인간이 음식을 먹는 것은 하느님이 하느님을 먹는 것(以天食天)으로 파악된다.
이런 신관에 의해 자연스럽게 삼경사상(三敬思想)이 도출되는데, 이는 경천(敬天)경인(敬人)경물(敬物)의 사상이다. 또한 각자의 마음속에 있는 하느님을 잘 길러나가는 것(養天主)이 하느님을 모시는 것이라는 입장도 같은 맥락 속에서 나타난 것이다
東經大全, 龍潭遺詞, 天道敎創建史(李敦化, 天道敎中央宗理院, 1933)
東學史(吳知泳, 永昌書館, 1940)
海月神師의 生涯와 思想(金用天編, 天道敎中央總部, 1969)
東學의 思想과 運動(崔東熙, 成均館大學校出版部, 1980). 〈張錫萬〉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4.12.27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03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