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소설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1. 연구 목적

Ⅱ. 전기소설의 태동과 기본 인식
1. 전기소설의 개념과 장르적 특징
2. 나말여초(羅末麗初)의 애정류 설화
3. 애정류 전기소설의 체재상(體裁上) 특징

Ⅲ. 조선조 애정류 전기소설의 변형 양상
1. 15,6세기 (愛情類 傳奇小說)의 변형양상
2. 17세기 애정류 전기소설의 변형 양상
3. 18,9세기 애정류 전기소설의 변형 양상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기서 처녀는 심생에 대한 확신이 설 때까지 보다 신중을 기하는 처녀의 행동을 엿볼 수 있다.
셋째, 애정류 전기소설에서는 주인공의 ‘고독감’이 진하게 나타난다. <심생전>에서도 중인(中人) 처녀의 고독감이 짙게 드러난다. 심생의 집요한 구애로 말미암아 혼인하기를 약속하고 몸을 허락하지만 심생 가족의 반대로 인하여 무산이 되고 만다. 이후부터 중인 처녀는 세상에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이 처절한 고독감은 곧 ‘소외감’과도 연결된다. 그리고 중인 처녀는 이 고독감을 이기지 못해 자살로 인생을 마감한다.
넷째, 대체로 주인공이 비극적인 결말로 끝을 맺는다. 애정류 전기소설은 현세에 대한 비극적인 세계관을 주로 취하고 있다. <이생규장전>, <만복사저포기>, <주생전>, <위경청전>, <심생전> 등 대체로 비극적인 결말로 끝을 맺는다. 이는 당 애정류 전기소설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써 비극으로 끝남으로 독자들에게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해준다.
다섯째, 남녀 주인공의 만남에서 시 대신 편지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애정류 전기소설의 대부분 주인공의 만남에 있어서는 시나 가(訶), 편지를 주고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삽입시나 편지가 사건의 진행에 크게 관여하고 있다는 것도 애정류 전기소설의 한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시와 편지의 교환은 <금오신화>, <하생기우전>, <주생전>, <위경천전>, <최척전>, <심생전>, 전 작품에서 모두 나타난다.
여섯째, <심생전>은 내용 및 형식적인 면에서 보면 <금오신화> 중 <이생규장전>과 유사하다.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이생규장전>은 환상성이 드러나지만 <심생전>에서는 이것이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Ⅳ. 결론
조선조 전기소설은 신화, 전설, 민담, 등에서 소설로 넘어오는 과도기적인 문학 형태로서 삼국 시대의 신화와 전설, 고려 시대의 패관 문학에서 밑거름이 형성되어 중국의 전기소설이 가미되어 이루어진 문학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우리의 전기소설은 중국의 전기소설과 우리의 문화와 작가의 창작의식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독특한 형태의 전기소설로 성장하게 된 것이다. 가장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은 애정류라고 불 수 있다. 애정류 전기소설은 당시에 봉건사화에서 야기되는 모순을 과감히 고발하고, 자유연애 풍조를 반영한 우수한 작품들이 많기 때문이다.
조선조 애정류 전기소설의 체계화를 위한 과정으로서 15세기부터 18,9세기에 지어졌던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 작품들은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하생기우전>, <주생전>, <위경천전>, <최척전>, <운영전>, <심생전>,여덟 작품이다. 지금까지 고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의 체제상 특징으로 당(唐) 전기소설의 체제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애정류 전기소설의 체재를 보면, 단편소설의 형식을 취하고 있고, 소설중간에 삽입시가 많이 등장하며, 주인공들이 비극적인 결말을 맞게 되며, 그들은 한시를 주로 잘 교환함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작자의 이름을 밝히고, 배경을 한국으로 하고 있으며, 한문 표기 들을 들 수 있다.
둘째, 조선조 애정류 전기소설의 사적(史的) 전개를 통한 발전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선초 애정류 전기소설의 구조에서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명혼 구조를 계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구조는 ‘당(唐)’ 전기(傳奇)소설 <유선굴>→ 『수이전』 일문 중 애정 설화나 『삼국유사』 소재 애정 설화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까지 계보를 이어가고 있다.
18,9세기에 들어와서는 현실 반영의 폭이 더 넓어졌고, 장편화로 말미암아 전기소설은 필연적으로 쇠퇴의 길에 들어설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그 빈자리는 다른 소설 양식이 차지하게 된다. 즉, 몽유록이나 전(傳), 영웅소설, 풍자소설 등이 그 자리를 메꾸게 된다. 그러나 애정류 전기소설은 그 의의를 상실하거나 소멸하지 않고 가른 장르와 결합하여 그 명백을 이어간다.
셋째, 조선조 애정류 전기소설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남녀 주인공의 애정 갈등이 상승과 하강의 기복이 매우 심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곧 애정 전기소설의 남녀 주인공의 애정 추구 과정이 정태적인 것이 아니라 당대인이 처한 사회적 상황 등 내 외적인 요인으로 말미암아 매우 동적이고 기복이 심하며 독자에게 긴장감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애정류 전기소설의 작품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애정류 전기소설의 소설사적 위상을 살펴보았다. 선초(鮮初)에는 당(唐) 애정 전기소설이 통일 삼국 이후 고려를 거치는 동안에 자연스럽게 우리나라에 들어 왔다. 따라서 <유선굴>, <이장무전>, 등 명혼 구조를 갖춘 당(唐) 애정 전기소설은 계속 계승되어 명나라 때 쓰여진 <전등신화>로 이러주고 이 <전등신화>는 <금오신화>에 영향을 주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금오신화> 5작품 중에서도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이 가장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이 두 작품은 애정류 전기소설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애정류 전기소설은 나말여초의 설화로부터 조선후기에까지 계승 발전되면서 고소설사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소설들은 후대로 오면서 애정소설, 가문소설, 사회서설 등으로 영역이 확장될 수 있는 문학적 기반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채연식 『朝鮮朝 傳奇小說 硏究: 愛情類 小說을 中心으로』, 학위논문(박사) 1999
곽하신 역주 『당대소설선』, 을유문화사 1970
김영재 『전기소설 교육연구』, 석사 2003
김문희 『애정 전기소설의 문체 연구』, 박사 2003
이정원 『조선조 애정 전기 소설의 소설시학 연구』, 박사 2004
*목 차
Ⅰ.서론
1.연구 목적
Ⅱ.전기소설의 태동과 기본 인식
1.전기소설의 개념과 장르적 특징
2.나말여초(羅末麗初)의 애정류 설화
3.애정류 전기소설의 체재상(體裁上) 특징
Ⅲ.조선조 애정류 전기소설의 변형 양상
1.15,6세기 (愛情類 傳奇小說)의 변형양상
2.17세기 애정류 전기소설의 변형 양상
3.18,9세기 애정류 전기소설의 변형 양상
Ⅳ.결론
*참고문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6.04.17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46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