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개념][포스트모더니즘 특성][포스트모더니즘과 연극][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극,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트모더니즘][포스트모더니즘 개념][포스트모더니즘 특성][포스트모더니즘과 연극][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극,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Ⅲ.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성
1. 모더니즘과의 단절
2. 현대서구 철학 사상의 지배적 경향
3. 전지구적 문화 현상
4. 모든 정치 사회(대중)문화 현상에 적용
5. 정신분석학적 언어학에 토대를 둔 인간 이해
6. 비동시적인 것의 동시적 존재
7. 메타 내러티브 부정
8. 포스트모더니즘의 조건은 상업적 팝 문화의 결과
9. 포스트모더니즘의 새로움은 백과사전식이 아닌 복사기식
10. 유일한 이데올로기는 이미지를 소비하는 오락행위

Ⅳ.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극
1. 포스트모더니즘 연극의 일반적 특징
2. 포스트모더니즘 연극의 양상

Ⅴ.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가 높다. 퍼포먼스의 이런 해방적 요소들은 열려진 무대를 추구하는 포스트모더니즘 연극의 특징을 이루고 있으며 모더니즘 연극에서의 현존에 상대되는 부재의 연극으로 명명되기도 한다. 아니 부재의 연극이라기보다 그것은 현존presence과 부재absence, 이동displacement과 복귀reinstatement를 오가고 있는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 연극이 구체적인 공연으로 들어갈 때 역시 가장 실제적인 문제가 되는 것이 구성이다. 포스트모더니즘 공연의 가장 큰 가시적 특징은 종래의 논리적이고 일관적인 의미의 고리가 단편적으로 와해되고 있다는 점이기 때문이다. 기존 연극이 주로 희곡적 테스트에 의존했다면 포스트모던 공연에서는 시간- 공간- 사물의 체계 자체가 중시된다. 또한 기존 연극에서의 무대성은 연기, 조명, 의상, 무대미술 등 공연의 모든 요소가 작가나 연출자의 의도를 통해 하나의 새로운 채널로 모아졌다면, 포스트모더니즘에서 무대의 각 요소는 각각의 개별적 기호이며 다중적인 신호로서 전달된다.
공연의 유기성, 통일성이 해체, 와해되면서 공연에서 단편적 이미지들이 우위를 점하게 된다. 포스트모던 문명 일반에서 공허한 이미지의 범람이 지적되듯이 포스트모던한 연극에서도 비현존적, 비본질적이며 신체와 관련없는 이미지들이 난무하게 된다. 포스트모더니즘 연극은 시각적 이미지 못지않게 엄청난 힘의 오디오를 사용하여 청각적 요소들은 포스트모더니즘적인 독특한 도취감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주체가 소멸되거나 분열되고 자아가 시간의 기표를 제어할 능력을 잃고 기표와 기의, 기표와 기표 사이의 의미사슬이 와해될 때 의미 없는 기표들의 더미는 강렬한 도취적인 힘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이와는 조금 다른 맥락으로 인간의 실체에 대한 관심과 집착 역시 포스트모더니즘 공연의 한 양상이다. 이는 형이상학이 고갈되고 인간의 신체가 모든 가치창조의 대상이 되어 인간의 육체가 그 자체로 물신화fetish되며 소비의 기호가 되는 포스트모던 사회의 양상과도 관련이 있으며 연극미학적으로 말하면 역시 재현으로서의 연극에 대한 거부에 뿌리를 두고 있다. 대본상의 인물을 구체화하는 존재로서가 아니라 인간의 신체 그 자체로서 연기자를 보는 태도는 사실 멀리 메이어홀드로부터 시작해서 모더니스트로 분류되는 아르토와 그로토스키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 극중 인물의 신체를 제한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베케트도 이에 관계된다. 본격 포스트모더니즘으로 와서 피나 바우쉬의 춤, 신체에 대한 자의식body- consciousness을 극대화시키는 일본의 일부 실험 연극인들, 자신의 성기를 노출시키는 카렌 핀레이의 페미니스트적 공연, 해체된 역사의 대체물로서 인간의 절단된 신체 이미지에 관심을 갖는 하이네 뮐러의 작품들이 그 예다.
Ⅴ.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
정치적 환경의 변화로 인해 80년대 문학과 90년대 문학은 확연히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국제적으로는 공산주의 몰락으로 인한 탈이데올로기의 범람과 국내적으로는 군부의 퇴조와 문민정부의 등장이 변화를 주도하게 된다. 과거의 권위주의적 통치를 배제하고 문민정부의 실험적 출발은 신세대, X세대 등의 풍요로운 자본주의시대가 만들어낸 독특한 자유분방한 세대의 등장과 멀티미디어 등 첨단시대의 정보화 혁명을 가져오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부정부패와 경직된 관료사회의 구조적 모순으로 인한 총체적 혼란을 야기하게 될 위험성을 안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변화의 물결은 90년대 소설문학의 굴절을 통해 그대로 재현되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의 범람과 함께 80년대를 주도하던 민중계열의 방향상실과 패배주의와 청산주의에 몰입하게 한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자아상실의 범람과 탈이데올로기, 탈모랄의 이즘을 유행시킴으로써 하일지, 이인화, 박일문, 장정일, 하재봉, 이순원, 구효서 등의 탄탄한 작가군을 형성하게 된다. 세기말적 분위기에 상당한 독자층을 형성한 반면에 뚜렷한 자기 이즘을 보여주지 못하고, 새로운 서술구조의 틀도 마련하지 못함으로 인한 일과성의 흐름의 정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80년대 민중계열의 작가군은 상업주의 색채를 지니는 등 상당한 변질이 되기는 하지만 김하기, 방현석, 김영현, 공지영, 공선옥, 김소진 등으로 이어지는 큰 줄기를 형성하게 된다. 이 두 작가군의 사이에서 최인훈, 신경숙 등의 실존주의 물줄기도 움직이고 있다.
Ⅵ. 결론
포스트모더니즘은 후기 산업사회의 병폐, 모더니즘 말기적 현상, 20C를 마감하는 세기말적 증후군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바로 이 시대가, 더 이상 기존의 논리나 이념으로는 위의 세 가지 문제가 설명되거나 해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되면서, 여러 각도에서 제시되고 있는 대안들을 통칭한다고 볼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완결된 것이 아니고 계속 논의를 덧붙여 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그 의의와 평가는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섣부른 기대나 낙관에는 문제가 있으나 포스트모더니즘이 제시하는 대안들로 모더니즘적 문제들이 많은 부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오늘날 포스트 모더니스트들의 기본적인 가정이다. 어쩌면 사람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을 맹신교처럼 신봉할 지도 모른다. 그러나 모더니즘에 대항하여 그에 모순 된 점을 들고 일어선 포스트모더니즘도 모순점을 안고 있을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항하는 탈 포스트모더니즘이 등장한다면, post가 가지고 있는 탈의 뜻이 두 번이나 사용되는 사조는 과연 어떤 것이 될 것인가? 살아가면서 해결해야 할 문제인 동시에 패러디로서 포스트모더니즘의 방법론적 해결이 지어지더라도 우리가 잃어선 안 되는 것, 바로 자아의 재발견이다.
참고문헌
권택영(1992) -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 문예출판사
김경린 - 알기쉬운 포스트 모더니즘과 그 주변이야기
이윤희(1992) -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학연구
이진우(1993) -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이해, 서광사
정정호(1991) -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문학, 글
한상진·김성기(1991) - 포스트모더니즘, 이렇게 보아야 한다 하나의 논쟁을 위하여, 월간 사회평론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7.2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61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