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모더니즘][소설][광고]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적 배경, 포스트모더니즘과 소설, 포스트모더니즘과 광고,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다양한 견해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트모더니즘][모더니즘][소설][광고]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적 배경, 포스트모더니즘과 소설, 포스트모더니즘과 광고,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다양한 견해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

Ⅲ.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Ⅳ.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적 배경
1. 미셸 푸코의 이성비판
2. 자끄 데리다의 해체주의
3.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의 조건

Ⅴ. 포스트모더니즘과 소설

Ⅵ. 포스트모더니즘과 광고

Ⅶ.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다양한 견해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인 전개(내포된 문제가 확연히 드러나는 것)라고 주장한다.
둘째로, 포스트모더니즘을 \"탈모더니즘\" 즉,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적 반작용이나 의식적 단절로 파악하여 온 대표적인 이론가들의 견해에 대하여 알아보자. 김성곤 교수는 포스트모더니즘을 모더니즘에 대한 비판적 반작용이나 그것과의 의식적 단절로 파악한다. 그동안 포스트모더니즘을 국내에 소개하는 데 누구보다도 앞장서온 김교수는 지금까지 줄곧 포스트모더니즘을 오직 \"탈모더니즘\"의 관점에서 논의해 왔다. 사실상 그는 포스트모더니즘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20세기 후반에 나타난 모든 현상마다 거의 예외없이 `탈\'이라는 꼬리표를 붙이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그는 포스트구조주의를 \"탈구조주의\"로, 그리고 그것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해체주의를 `탈구축주의\'로 옮기고 있다. 이보다 한 발 더 나아가 김교수는 `탈리얼리즘\'이나 `탈신비평\'이라는 용어까지 서슴지 않고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번역어에서 명시적으로 드러나 있듯이 그는 포스트모더니즘을 모더니즘과 엄격히 구분하고자 한다. 그는 이 점과 관련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은 적어도 문학에 있어서만큼은 모더니즘의 종식 또는 모더니즘의 죽음 위에 세워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그런 의미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후기 모더니즘\'이라기보다는 `탈모더니즘\'이라고 번역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그는 <우리 모두는 다소간 리얼리스트이고 다소간은 모더니스트이며 또 동시에 다소간은 포스트모더니스트라고도 할 수 있다.>는 핫산I.Hassan의 명제를 받아들이면서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은 결코 그 존재를 부인할 수 없는 우리의 현실이자 우리의 상황이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은 전통적인 리얼리즘의 정신을 계승하면서도 그것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시작된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포스트모더니즘은 결코 단순한 모더니즘의 변형이나 아류가 아니라고 한다.20세기의 지배적 사조가 모더니즘이었기에, 그리고 포스트모던 시대의 사조라는 의미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명칭을 갖게 되었을 뿐, 본질적으로는 탈모더니즘, 탈리얼리즘적 속성을 갖고 시작된 새로운 사조라는 것이다. 그는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인식론적 움직임이 1990년대 한국 문학에 새로운 돌파구를 제시해 줄지 모른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렇게 두 가지 관점으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하여 알아보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의는 외국의 경우보다 한결 더 극단적인 관점에서 논의 되어 온 것처럼 보인다. 외국의 경우 서로 대립되는 이 두 입장을 변증법적으로 정합하거나 통일하려는 시도가 끊임없이 있어 왔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우리나라의 경우는 이 두 입장 사이에는 여전히 갈등이나 대립만이 있다. 다시 말해서 일군의 이론가들은 오로지 모더니즘의 입장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파악하고자 하는 반면, 다른 일군의 이론가들은 너무 지나치게 모더니즘과의 단절이라는 관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김욱동(1990)의 경우는 다원성과 상대성 그리고 비결정성을 기본적인 철학적 입장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은 정의하기에 매우 어려운 것이라고 하면서, 변화무쌍한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성격을 올바르게 규명하기 위해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은 과연 어떤 면에서 모더니즘과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가. 그리고 그것은 또한 과연 어떤 면에서 모더니즘과 변별적인 차이가 있는가>라는 질문 속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에게 있어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기본 입장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동시에 또한 모더니즘의 한계를 초월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본질을 밝혀 보겠다는 그의 글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중 어떤 것이 모더니즘과 공통적이며 어떤 것이 차이가 있을 것인가를 밝히는 데 주의를 집중하고 있다. 그러면서 본질적인 면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의 기본입장과 전제를 거의 대부분 받아들이고 있고, 포스트모더니즘과 모더니즘 사이에는 혈육의 유사성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탈\"이든지 \"후기\"라고 정의가 내려지든 \"포스트모더니즘\"은 현재의 난해한 사상적 흐름을 설명하기에 필요한 사조라고 생각한다. 위에서 용어의 정의와 발생시기 그리고, 학자들의 견해에서 알아본 것을 바탕으로 하고 위에서 예를 들어 보인것 외에도 여러 학자들의 정의에서 보여지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몇몇 특성들을 통합하여 보면 첫째로 대중주의에 입각하여 고급문화와 대중문화의 경계를 허물고, 정전(正典)에 반대하는 탈 정전의 경향, 둘째로 인간의 역사나 현실세계에 대한 각종 텍스트들이 통일적인 내면의 원리에 의해 종속될 수 없다는 \"깊이 없음\"의 문화, 셋째로 타인/타자와 구별되는 개별적인 스타일의 소멸을 말하는 주체의 죽음 혹은 해체, 넷째 현실을 구경거리, 환영으로 생각하고 과거를 망각해버림에 의해 생겨난 역사성의 빈곤, 마지막으로 현실을 일관된 의미로 재현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었다는 데서 나타난 숭고미등으로 종합해 볼 수 있다.
Ⅷ. 결론
포스트모더니즘은 후기 산업사회의 병폐, 모더니즘 말기적 현상, 세기말적 증후군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시대가, 더 이상 기존의 논리나 이념으로는 설명되거나 해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되면서, 여러 각도에서 제시되고 있는 대안들을 통칭한다고 볼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완결된 것이 아니고 계속 논의를 덧붙여 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그 의의와 평가는 이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섣부른 기대나 낙관에는 문제가 있으나 포스트모더니즘이 제시하는 대안들로 모더니즘적 문제들이 많은 부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오늘날 포스트 모더니스트들의 기본적인 가정이다.
참고문헌
1. 구본준, 포스트 모더니즘과 광고, 하이텔
2. 김지열, 포스트 모던 광고, 하이텔
3. 강명구, 소비대중문화와 포스트모더니즘, 민음사, 1993
4. 남웅종, 광고정보 2월호, 한국방송광고공사, 1993
5. 정정호, 포스트 모더니즘과 한국문학, 글, 1991
6. 존 스토리 저, 박모 역,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1994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7.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73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