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지능(MI) 이론의 새로운 관점 및 미술교육에 주는 의미와 시사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릿글

Ⅱ. 다중지능(MI) 이론에 대한 고찰
1. 지능에 대한 기존의 관점
2. 다중지능 이론의 개념
1) 다중지능 이론의 의미
2) 지능의 기준
3) 가드너의 다중지능 이론의 기본원리와 핵심
3. 다중지능의 아홉 가지
4. 다중지능의 8가지 선별준거
5. 다중지능 이론이 학교교육에 주는 의미
6. 다중지능 이론에 대한 비판
7. 수업에의 적용

Ⅲ. 다중지능 이론이 미술교육에 주는 의미와 시사점
1. 다중지능 이론과 예술교육
2. 공간적 지능과 미술교육
3. 미술교육 관련 다중지능 교육 프로그램
1) 하버드 프로젝트 제로
2) 예술 프로펠
3) 프로젝트 한양
4. 다중지능 이론이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
1) 미술을 이해하는 교육의 강화
2) 스스로 생각할 수 있게 하는 미술교육
3) 다양한 지능을 활용하는 통합적 미술교육
4) 자기동기에 의한 자기주도학습
5) 과정에 기초한 전체적 평가
6) 지능을 취미, 특기, 전공, 직업으로 연결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외국 이론을 살펴보면서 항상 기억해야 할 점은 이런 이론에 경도되거나, 한국 미술교육이 이런 이론을 실천하는 장이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거나, 외국이 이렇게 가고 있으므로 우리도 그렇게 가야 한다고 주장하거나, 이 이론의 틀에 우리 학생들을 맞추게 하려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런 이론을 살펴보는 가장 큰 이유는 한국 미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그런 이론들을 철저하게 분석하여 한국 미술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 한국 실정에 맞고 한국 학생들에게 맞는 한국 미술교육학을 정립하는 일이다.
참고문헌
심우엽 (1995). 지능의 관점과 교육적 시사. 초등교육연구, 9. 33-48.
노부자(2000). MI이론에 기초한 21세기 미술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조형교육 제16집.
류숙희(1996). 지각된 다중지능의 집단차와 IQ 및 성적과의 관계 분석 연구, 서울대석사학위논문.
성완경(2000). 한국 미술교육의 반성과 패러다임 전환, 미술교육논총 제9집, 19-40.
심우엽(1995). 지능의 관점과 교육적 시사, 초등교육연구, 9, 33-49.
심우엽(1999). 다중지능 이론과 학교교육의 개선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35(3), 83-96.
안필영(1998a). 다중지능 이론과 미술교육-초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미술교육 제8호, 45-67.
안필영(1998b). 다중지능에 기초한 미술 프로젝트. 사향미술교육논총 제6집, 257-284.
오종숙(1996). 교육에서 미술의 중요성, 교육미술연구, 1996년 봄호
장현오(2002),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미술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성수(1996). 현대 미술교육의 배경과 정당화에 대한 탐색. 미술교육, 6, 20-42.
전성수(1999). 감성지능 게발을 위한 미술교육 방안. 한국초등교육, 10(1), 261-281.
전성수(2000). 미술교육학의 학문적 체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정태희(1998). 다중지능 이론에 기초한 교수-학습 활동 개발 및 효과 분석 : 개인적 지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하대현(1998). H. Gardner의 다지능이론의 교육적 적용-그 가능성과 한계-, 교육 심리연구, 12(1), 73-100.
하대현·송선희(1998). H. Gardner의 다지능 이론: 논쟁점과 과제. 안암교육학연구, 4(1), 1-26.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프로젝트 한양 연구팀(1997). 제2차 워크샵:다중지능관련 수업모형과 수업 시나리오 개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프로젝트 한양 연구팀(1998). 제4차 워크샵:각 지능영역별 학습활동/프로젝트/포트폴리오/루브릭, 한국교육문제연구소.
현동걸(1999). 다중지능 이론에 근거한 과학공작학습을 통한 창의력 신장의 모색. 제주교육대학교 논문집, 28, 253-271.
홍성윤·김유미(1998). 중다지능이론과 교수-학습 방법.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167-188.
Amstron, T.(1994). Multiple intelligence in the classroom. Alexandria: ASCD.
Amstron, T., 전윤식, 강여심 역(1998), 복합지능과 교육.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Arnheim, R. 김정오 역(1997). 시각적 사고. 이화여대 출판부.
Elliot W. Eisner, Commentary : Putting Multiple Intelligence in Context : Some Questions and Observation, Teachers College Record, v95 n4, Sum 1994.
Gardner and Perkins(1989). Art, Mind, and Education: Research from Project Zer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Gardner, H.(1982). Art, Mind, and Brain, New York: Basic Books.
Gardner, H.(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Gardner, H.(1989). Zero-Based Art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Arts Propel, Studies in Art Education, A Journal of Issue and Research, 30(2)
Gardner, H.(1993). Multiple intelligence: The theory into practice, New York: The Basic Books.
Gardner, H.(1999). Intelligence Reframed. New York: Basic Books.
Gardner, H., 김명희.이경희 역(1998), 다중지능의 이론과 실제, 서울:양서원.
Gardner, H., 문용린 역(2001). 다중지능 인간 지능의 새로운 이해. 서울: 김영사.
Gardner, H., 이경희 역(1996). 마음의 틀. 서울:문음사.
Hoerr, T.(1999). Becoming a Multiple intelligence school. Arlington, VA: Associ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Scarr, S.(1985). An author's frame of mind. Review of Frame of mind. New Ideas in Psychology, 3, (1).
Simson, J(1996). Constructivism and Connection Making in Art Education, Art Education, January, 1996.
Sternberg, R. J.(1985). Beyond IQ: A triarchic theory of intellig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7.03.20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9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