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의 시와 사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생애
2.시속의 문학관
(1)타지땅에서 나타난 소외의식
(2)신분적 처지에서 나타나는 감정
3.최치원 시속의 문학성
-‘소멸의 미학’
4. 최치원의 사상-삼교사상
(1)최치원의 유교관
(2)최치원의 불교관
(3)최치원의 도선관

Ⅲ.결론

본문내용

니, 이는 곧 불교의 수행방법이 마음을 허정(虛靜)히 한다는 것을 말한다.
(A)안으로는 원통함을 해소(解消)시켜 주고 응어리진 것을 풀어 주며, 밖으로는 괴로움을 건져 주고 위태함을 제거해 준다.
) 최영성, 『譯註 崔致遠全集(2)』 (아세아문화사, 1999), p. 240.
(B)만겁토록 어둠 속에서 유전(流轉)하는 시방(十方)의 일체 중생이 다함께 반야(般若)의 배를 타고 일제히 보리의 피안(彼岸)에 이르게 한다.
) 최영성, 『譯註 崔致遠全集(2)』 (아세아문화사, 1999), p.243.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최치원의 불교관이 철저하게 대승적 입장에 서 있다는 사실인데, 중생제도에 대한 최치원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즉, 최치원이 생각하는 불교관과 사상에 대하여서 엿볼 수 있다.
(3)최치원의 道仙觀
최치원은 유교사상을 체(體)로, 불교와 도선사상을 용(用)으로 하여 이에 정통한 사상가였다. 종횡으로 끝없이 펼쳐지는 사상적 편린들 속에서 그의 천재성을 엿볼 수 있다. 그는 유.불.도 삼교사상이 근본적으로 회통(會通)함을 밝혔으며, 또 삼교가 상호 보완적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았다. 그의 도선사상에 대한 연구 역시 이러한 기본 입장을 이해한 바탕 위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도선사상에 대한 최치원의 이해는 여러 영역에 두루 통했던 것으로 보인다. 도가사상에 대한 이해는 더할 것도 없거니와, 도교에 대한 관심 역시 당나라에 유학할 때 열렬한 도교신자인 고변의 막하(幕下)에 있으면서 상당히 고조되었던 듯하다. 그러나, 신라로 귀국한 이후에는 유교와 불교에 대한 침잠으로 인해 도교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그는 귀국 이후 도교에 대해서는 열성적이거나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아니하였으며, 줄곧 비판적인 입장에 있었다. 물로 우리 고유의 선도(仙道)에 대해서까지 무관심했다는 것은 아니지만, 귀국 이후의 사상 역정에서 장생불사(長生不死)를 추구하는 도교에 대한 관심이 희박했던 것은 주목해야 될 사실이 아닐 수 없다.
도교에 대한 이러한 입장은 당시 신라에서 도교가 불교의 위세에 눌려 별로 성행하지 못했던 상황과도 무관하지 않은 것 같고, 또 대하(大廈)가 무너져 가는 듯한 신라 말기의 상황이 그로 하여금 도교에 침잠하여 현실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기 어렵게 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그는 현실 정치에 대해 실의(失意), 은거한 이후 멸망의 길로 치닫는 신라를 다시 붙들어 세우고자 유교적 충군애국(忠君愛國) 사상으로 무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화엄사상에 관심을 집중시켜 보수적이고 체제 유지적인 입장에서 이해하면서, 호국(護國)과 존왕(尊王), 화합과 통일을 부르짖었던 것이다. 이는 은거 이후에 이룩된 저술들을 종합해 보면 잘 나타나고 있다.
) 崔英成, 『崔致遠의 哲學思想』(아세아문화사, 2001), pp. 248~249.
하지만 최치원이 한국도교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크다는 것은 다음 글들을 보면 알 수 있다.
(A)최치원은 한국 고유의 신선사상적(神仙思想的) 문화풍토의 기반 위에서 중국의 도교를 학문 적, 체계적으로 전수하는 동시에 이를 깊이 연구, 수련하여 다시 후세에 전달해 줌으로써, 한 국의 도맥(道脈)을 동시에 전통문화의 발전에 크게 공헌을 한 것이다.
) 都珖淳, 「崔孤雲의 道敎思想」, 『제4회 국제불교학술회의 논문집』(大韓傳統佛敎硏究院, 1981), p.110.
(B)최치원은 일찍이 당(唐)에 유학하여 종리권(鐘離權). 여동빈(呂洞賓)계통의 수련적 도교를 익혔지만, 아울러 국내의 선통(仙統)을 이어받아 함께 수용함으로써 동방단학파(東方丹學派) 의 새로운 경지를 이룩한 셈이다.
) 崔三龍, 「崔致遠의 道仙思想 硏究」, 『韓國言語文學』(한국언어문학회, 1986), p.242.
이처럼 최치원의 도가사상은 한국의 종교와 문학의 연구분야에서 빠질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Ⅲ. 결론
이상으로 최치원의 시속에 나타나 있는 사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살펴본 바 최치원의 시속에 나타나 있는 사상은 결코 그의 천재성이나 아무 노력 없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의 생애를 통하여 그가 중국과 같은 타지에서의 삶과 신분계급에 대한 갈등, 그리고 고독과 외로움이라는 정서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그의 시속에서 표출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고 그의 시가 문학적으로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의 시속에는 그가 느낀 감정들을 표출시키는 탁월한 표현능력들이 상징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세태에 대하여 비소를 날리는 날카로운 풍자와 해학과 같은 시들도 있다.
이는 최치원의 시가 현대까지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이유가 되며 앞으로도 그의 시는 한시문학에서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다.
한편 최치원의 종교적 사상은 그의 삼교적 사상에 잘 나타나 있다. 세 가지 종교 사이에서 사회문화적 갈등속에서 형성되었던 종교관은 우리문학에 있어서 없어선 안 될 유산이다. 그의 글과 문학작품 등에서 나타나는 종교적 입장들은 앞으로도 계속해서 연구과제가 될 것이다.
이상으로 최치원의 '시와 종교적 사상'에 대하여 정리하여 보았다. 최치원은 당대 최고의 문인이자 지식인으로서의 면모를 유감 없이 발휘하였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해서 추앙받는 문인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具本機 외, 『韓國漢詩作家硏究』, (太學社, 1995)
2) 김승찬 외, 『한국문학 사상론』, (세종출판사, 1994)
3) 김진영 외, 『고운 최치원 시집』, (민속원, 1997)
4) 정종대, 『한국 한시속의 삶과 의식』, (새문사, 2005)
5) 趙東一, 『韓國文學思想史試論』, (知識産業社, 1978)
6) 조동업, 『한국문학작가론』, (집문당, 2000)
7) 都珖淳, 「崔孤雲의 道敎思想」, 『제4회 국제불교학술회의 논문집』(大韓傳統佛敎硏究院, 1981)
8) 崔三龍, 「崔致遠의 道仙思想 硏究」, 『韓國言語文學』(한국언어문학회, 1986)
9) 崔英成, 『崔致遠의 哲學思想』(아세아문화사, 2001)
10) 安廓, 『朝鮮文學史』(韓日書店, 1922)
11) 최영성, 『譯註 崔致遠全集(2)』 (아세아문화사, 1999)
12) 최영성, 『譯註 崔致遠全集(1)』 (아세아문화사, 1998)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11.20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76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