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물류정책][물류산업][물류기반시설][물류환경]물류 의의, 물류정책 필요성, 물류산업 특징, 물류산업 규모, 물류산업 범위, 물류기반시설 투자현황, 물류기반시설 문제점, 물류환경 여건변화, 물류환경 전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물류][물류정책][물류산업][물류기반시설][물류환경]물류 의의, 물류정책 필요성, 물류산업 특징, 물류산업 규모, 물류산업 범위, 물류기반시설 투자현황, 물류기반시설 문제점, 물류환경 여건변화, 물류환경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물류의 의의
1. 물류의 정의
1) 물류관리 협의회의 물류의 정의
2) 트레이드 오프(trade off)
2. 물류의 중요성과 역할
1) 물류의 중요성
2) 물류의 역할
3) 국민경제 관점에서의 역할
3. 물류에 관한 용어
1) 로지스틱스
2) 로지스틱스의 특징

Ⅲ. 물류정책의 필요성
1. 물류란
2. 물류의 중요성
3. 물류정책의 추진

Ⅳ. 물류산업의 특징
1. 유발수요산업
2. 지원서비스산업
3. 물류활동의 내부화가 가능한 산업
4. 영세산업
5. 경쟁적 산업

Ⅴ. 물류산업의 규모와 범위
1. 국내 물류서비스 산업 규모
2. 물류서비스업의 범위
3. 국내 물류서비스 산업의 특징

Ⅵ. 물류기반시설 투자현황 및 문제점
1. 도로시설
2. 철도시설
3. 항만 및 공항시설

Ⅶ. 향후 물류환경의 여건변화 및 전망
1. 화물수송수요의 추이와 전망
1) 국내화물의 수송수요
2) 국제화물 수송수요
2. 국내․외 물류여건변화
1) 국내 물류여건의 변화
2) 국제물류환경의 변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 물류비의 가중으로 산업부문에 막대한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2. 철도시설
철도부문의 시설투자는 도로, 해운, 항만 등 다른 수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저조한 실정으로 1985년 철도총연장이 3,120km 이었으나 현재 3,101km인 것으로 나타나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수준면에서도 복선의 경우 총연장이 882km로 복선화율은 28.4%인 것으로 나타나 매우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수단간 수송분담율의 변화추이를 보면 도로부문의 경우 매년 6.8%, 해운의 경우는 동기간중 0.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철도부문의 경우는 매년 6.9%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철도부문에 대한 그동안의 투자가 저조하여 철도시설의 질적·양적수준의 하락을 가져와 도로부문의 수송량을 크게 증가시켰다고 볼 수 있는데, 이로 인하여 도로의 수송체증을 심화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철도부문의 용량초과 현상은 도로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은 결과에 기인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절대적인 선로부족과 시설의 노후화로 특징 지을 수 있다. 또한 지역간 철도망의 보급체계가 국토 전반에 걸쳐 체계적으로 시설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접근성면에서 도로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효율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점은 도로부문의 수송수요를 가일층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도로운송의 포화상태를 유발하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3. 항만 및 공항시설
우리나라의 항만물동량은 587,435천톤에 이르고 있는데, 과거에 대한 물동량변화추이를 보면 매년 10.1%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까지는 매년 14.1%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최근에 와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 항만의 하역능력을 보면 75,000천톤에서 현재 276,198천톤으로 나타나 매년 11.6%씩 증가하여 시설과부족 현상은 매년 19.7%씩 증가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역능력이 매년 5.3%씩 증가되어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화물량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에 따라 동기간중의 과부족현상은 매년 36.7%씩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시기별 항만시설의 과부족율을 보면 현재 35.7%의 시설 과부족율을 보이고 있어서 항만물동량의 심각한 적체현상을 불러오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국제화물수송의 90%가량을 항만에서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항만시설의 과부족현상은 물류비용 상승을 초래해 국가경쟁력을 약화시키고 국가의 수출입무역에 심각한 장애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항공수요는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실정인데, 특히 1980년대 중반이후 도로교통체증, 철도용량의 한계 등으로 항공부문의 수요는 약 20%가량 증가하여 타교통수단에 비하여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급증하는 항공수요에 비하여 공항시설은 매우 낙후되어 있어서 기존시설의 경우는 처리능력이 한계에 도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화물수송에 많은 장애가 초래되고 있다.
Ⅶ. 향후 물류환경의 여건변화 및 전망
1. 화물수송수요의 추이와 전망
1) 국내화물의 수송수요
국내화물의 총 물동량은 2,532,762천톤에서 2020년 6,220,459천톤으로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이다. 수송수단별로 보면, 화물차 분담율은 91~92% 유지하여 대부분을 차지하고 항공·철도화물은 1997년에서 2020년사이 각각 3.2배, 2.0배 증가가 예상된다.
2) 국제화물 수송수요
국제화물의 총물동량은 1997년 486,663천톤에서 2020년 1,265,563천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이다. 수송수단별로 보면 항공화물은 1997년 1,631천톤에서 2020년에는 4.0배 증가한 6,657천톤으로 증가할 것이고 해운화물은 1997년 485,032천톤에서 2020년에는 2.6배 증가한 1,258,906천톤의 증가가 예상된다.
2. 국내·외 물류여건변화
1) 국내 물류여건의 변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정보의 이동이 가능한 디지털시대에는 신속·정확·저렴한 물류서비스가 경쟁력을 결정하였다. 기업은 핵심역량만을 보유하고 주변역량을 Out-Sourcing 하는 「외부자원의 내부자원화」선택이 불가피(예, 아마존·Fedex 제휴)하다. 다품종·소량·적기수송을 원하는 소비자행태의 변화와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확산으로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여 유통단계가 대폭 축소되고 고객맞춤 물류서비스 제공을 위한 SCM(공급체인관리) 이용증가하였다. 정부의 역할은 정보인프라의 구축과 거래의 공정성 확보, 소비자 보호를 위한 법과 제도의 정비 등 민간 부문이 수행하기 어려운 분야로 최소화하였다.
2) 국제물류환경의 변화
중국시장 개방, 대륙횡단철도(TSR·TCR 등), 아시안하이웨이(Asian Highway)의 이용가능성 증대로 우리나라가 동북아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는 잠재력 증가하고 물류업의 영역이 단순한 수송·보관 등에서 조립·가공을 겸한 부가가치 물류로 확대되고, 물류업이 전체 산업구조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높아진다. 미국의 경우 “부가가치를 높이는 물류창고는 미래형태의 공장(Warehouse for value-added logistics is the futural plant) ” 이라고 하며 물류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선진국의 물류정책은 규제완화, 물류Infra 확충, 정보화·표준화를 통한 물류시스템의 고도화, 환경과 안전을 중시 경향이다.
참고문헌
건설교통부(1996) : 종합물류정보전산망 기본계획
김종칠(1996) : 종합물류정보전산망의 효율적인 구축방안, 한국해운학회지 제 22 호, 한국해운학회
노홍승, 이철영(1996) : 항만물류 서비스의 개념과 특성 고찰에 관한 연구, 한국해운학회지 제23호, 한국해운학회
상공회의소(1999), 제3자 물류업체의 경영실태조사, 조사보고서
옥선종 외 3인(2000) : 물류관리론, 경록
유통정보사 : 물류매거진 1999(12 월호), 2000(3·6·7 월 호)
장홍훈(1995) : 우리 나라 해운 항만 물류의 EDI 구축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해운경영연구 제 21호, 한국해운학회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10.2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79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