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갯벌관리][생태계]갯벌의 개념, 갯벌의 기능, 갯벌의 종류와 갯벌의 이용, 생태계의 보고로서의 갯벌, 우리나라의 주요 갯벌 현황 및 외국의 갯벌관리정책 사례를 통해 본 향후 갯벌관리 방안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갯벌][갯벌관리][생태계]갯벌의 개념, 갯벌의 기능, 갯벌의 종류와 갯벌의 이용, 생태계의 보고로서의 갯벌, 우리나라의 주요 갯벌 현황 및 외국의 갯벌관리정책 사례를 통해 본 향후 갯벌관리 방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갯벌의 개념

Ⅲ. 갯벌의 기능
1. 서식지 기능
2. 자연정화 기능

Ⅳ. 갯벌의 종류
1. 모래갯벌(sand flat)
2. 펄갯벌(mud flat)
3. 혼성갯벌
4. 하구역 갯벌

Ⅴ. 갯벌의 이용

Ⅵ. 생태계의 보고로서의 갯벌
1. 유기 쇄설물과 생산자
2. 소비자
1) 부유물식자
2) 퇴적물식자
3) 잡식자와 부식자
4) 포식자

Ⅶ. 우리나라의 주요 갯벌 현황
1. 한강하구 갯벌
2. 인천시와 경기도 갯벌
3. 충청남도 갯벌
4. 전라북도 갯벌
5. 전라남도 갯벌
6. 경상남도와 부산시 갯벌

Ⅷ. 외국의 갯벌관리정책 사례
1. 람사협약(Ramsar Conference)을 통한 국제 습지 보호 노력
2. 각국의 갯벌 관리 정책 사례
1) 독일
2) 미국
3) 일본
4) 캐나다

Ⅸ. 향후 갯벌관리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외(off site) 보전
- 손실된 습지와 대체습지의 비율 : 면적대비가 아닌 습지의 기능, 특성에 따른 비율.(향후 습지 가치의 손실이 없을 것이라 확신있을 땐 1 : 1)
3) 일본
일본 역시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인공섬이나 쓰레기매립장, 농지나 주택용지 조성을 위한 습지 매립 압력이 심한 편이다. 일본의 환경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조사 결과에 의하면 해안선 총 연장 32,817㎞ 중 55.2% 정도만이 인공화되지 않고 남았으며, 293 ㎞ 길이의 자연해안선이 인공화되어 사라졌다. 조간대(tidalflats)의 경우 약 51,000 ㏊에 이르렀으나, 이후 많은 개발사업의 대상이 되면서 약 4,000 ㏊의 조간대가 상실되었다. 그러나 조간대의 생물다양성과 휴양적 가치의 중요성은 최근 크게 인식되고 있다. 일본의 자연습지의 보전과 관련된 법률과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연보전법(the Nature Conservation Law)\'에서는 원시 생태계나 중요한 생태계를 간직한 지역을 야생지역이나 자연보전지역으로 지정하며, 자연보전지역의 일부 지구에서는 수목 채벌이나 구조물 설치, 수면 매립 등의 활동이 금지된다. 또한 \'자연공원법(the Natural Parks Law)\'에서는 뛰어난 경관미를 지닌 지역을 국립공원이나 준 국립공원으로 지정하며 , 공원지역에 속한 특별보호지구 내에서는 수목 채벌이나 구조물 설치, 수면 매립 등이 금지되고 있다. 한편 \'조류 및 포유동물 보호법(The Law for the Protection of Birds and Mammals) \'에서는 포유동물과 새들에게 중요한 이주 지역과 번식 장소를 보호지역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보호지역 내 특별보호지구에서는 필요할 경우 수면매립이 금지된다. \'희귀동식물 보전법(the Law for the Con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of Wild Fauna and Flora)\'은 지정된 희귀 동식물의 채집, 거래 등을 엄격히 규제하며, 필요할 경우 \'자연 서식지 보전 지역\'을 지정한다. 이 지역에서는 건축, 토지나 서식지의 형질변경, 광산 채굴활동, 매립, 수고의 변화, 수목 채벌, 지정된 희귀종의 포획·채집 등의 활동이 금지된다. 또한 일본에서는 1980년 쿠시로 습지를 첫 람사보호습지로 지정한 이후 주요 철새도래지인 10곳의 습지 지역을 지정, 보호하고 있다. 람사보호습지 중에는 이탄지, 호수, 연못, 조간대 등 다양한 유형의 습지가 포함되어 있다.
4) 캐나다
캐나다는 습지보전을 위한 연방정부법을 마련하였으며, 총 1300만 ㏊에 이르는 33개의 Ramsar Site를 등록하고 있다. 한편 캐나다는 연방정부 차원에서 해양보호를 위해 다음과 같은 활동을 추진해왔다. 먼저 \'the national marine conservation area(NMCA)\'은 1986년 Parks Canada에서 시작한 프로그램으로서, 캐나다의 해양과 대호수를 대표하는 29개 해양지역을 지정·관리하고 있다. NMCAs내에서는 해저 채굴, 가스나 석유탐사 등의 활동이 금지되며, 절대보호지역 밖에서는 조업이나 어업활동이 융통성있게 허가되고 있다. \'National Wildlife Areas(NWAs)\', \'Protected Marine Areas\', \'Migratory Bird Sanctuaries\'는 Environment Canada에서 주요 서식처와 야생동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지정·관리하는 것으로 지정된 지역 내에서는 야생동물이나 환경에 해를 끼치는 활동은 금지되며, 단 생태관광 같은 특수한 활동은 유연성 있게 허가 되고 있다. 한편 \'Marine Protected Areas (MPAs)\'은 1997년 1월 31일자로 적용되고 있는 해양법(Oceans Act)에서 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프로그램으로 해양 포유동물과 그 서식지를 포함한 어족자원의 보호, 위기에 처한 혹은 위협받고 있는 해양생물과 서식처 보호, 독특한 서식처 보호, 높은 생물 다양성이나 생물학적 생산성을 지닌 해양지역의 보호, 관련 부처의 위임에 의한 해양자원이나 서식처 보호 등의 목적으로 지정·관리된다. 이 MPAs내에서는 일정 용도지역을 지정하게 되며, 대상 지역이나 지정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인간 활동을 규제하게 되며, 캐나다 정부에서 MPAs를 다루는 국가적 체제를 설립하게 된다. 따라서 해양법(Oceans Act)에 의한 MPAs 프로그램은 세 번째로 추진되는 연방 프로그램으로서 다른 프로그램들과 함께 상호 보완적으로 해양 환경 보전을 위해 기여하게 되었다. 한편 캐나다의 지방정부 차원에서도 지방 공원, 생태 지역, 야생동물 관리 지역 등을 지정·보호하고 있다.
Ⅸ. 향후 갯벌관리 방안
갯벌은 우리가 관심을 두지 않았던 오랜 기간 동안 간척과 매립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갯벌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일반인들의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였고, 특히 1999년에 이르러 갯벌 보호에 관한 법률(습지보전법과 연안관리법)이 제정 공포됨에 따라 체계적인 갯벌관리가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갯벌 기초 조사 결과를 토대로 갯벌에 대한 보전과 이용 방안이 수립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법률의 내용은 갯벌을, 훼손되어서는 안되도록 철저히 관리하는 보호지역, 사람의 활동과 개발이 필요한 지역에 대해서는 환경을 살리는 의미의 개발을 할 수 있는 관리지역, 그리고 훼손이 심각한 지역으로 복원이나 대체 생태계가 마련되어야 할 개선지역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역주민들의 활동에 대한 보장과 지원을 포함하여, 생태관광 추진 등으로 지역 발전과 연결시킴으로써 보호지역 지정으로 인한 지역주민들과의 갈등도 해결해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갯벌의 효율적 이용과 보존을 위한 연구, 한국해양연구소
고철환, 갯벌, 어떻게 만들어지나, 1997
대한지리학회지, 한국의 대규모 간척사업이 주변의 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 1995
이학곤, 갯벌 환경과 생물, 아카데미서적, 2002
임현식, Why? 갯벌, 예림당, 2006
윤희중, 갯벌의 자원가치와 기능
전재경, 갯벌 보존의 법리, 1999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2.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89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