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서울시 문화관광 진흥을 위한 Hi Seoul Festival의 개선방안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졸업논문]서울시 문화관광 진흥을 위한 Hi Seoul Festival의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지역축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III. 국내외 지역축제 사례분석
IV. Hi Seoul Festival의 개최 현황 및 평가
V. 서울시 문화관광 진흥을 위한 Hi Seoul Festival의 개선방안
VI. 결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의의를 자리매김 할 수 있는 서울만의 문화적 토양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축제는 지역문화 확립을 위한 문화정책적 수단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축제는 지역문화를 바탕으로 지역정체성을 확보하고 지역주민의 일체감을 조성하는 중요한 문화제이기 때문이다.
올해로 6회를 맞이하는 Hi Seoul Festival 2008은 서울을 자랑하는 시민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서울시민으로서의 자긍심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신선하고 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Hi Seoul Festival은 축제 전체를 상징하는 주제의 부재, 다양한 적극적인 시민참여 부족, 행사 진행상의 문제 사전홍보 미흡, 수익성 있는 문화상품 부재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고 세계적인 문화관광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선노력과 육성정책뿐만 아니라, 전국적이고 세계적인 축제로의 발전을 목표로 장기적인 안목의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며, 뚜렷한 테마를 정하고 축제를 통해 표현할 수 있는 ‘서울만의’ 특색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짜임새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
<국내자료>
[1] 김명자, 「민속문화, 무엇이 어떻게 변하는가」, 집문당, 1995
[2] 김명자, “지역축제의 방향을 위한 시론”, 비교민속학, 제12집, 1995
[3] 김병철, “강원도 지역축제의 활성화 방안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1998
[4] 김영호,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 연구 -Hi Seoul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 김희선, “서울지역 축제의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림대 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6] 김희진, 「신이벤트 마케팅전략」,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7] 남치호김춘식, 세계축제경영, 김영사, 2002
[8] 라도삼 외 3인, “서울시 문화 정책의 효율화 방안 연구: 문화도시화 전략을 중심으로”, 서 울시정개발연구원, 2002
[9] 류정아, “축제, 그 현대적 의미와 표상: 축제성의 변신과 재적응”, 「축제와 문화」, 연세대 학교출판부, 1999
[10] 문화관광부, 2006 문화관광축제 평가보고서, 2007
[11] 문화체육부, 「한국의 지역축제」, 1997
[12] 박은주, 「세계축제경영」, 김영사, 2002
[13] 박상수, “지역축제와 이벤트”, 지방행정, 6월호, 1996
[14] 박호창, “우리나라 지역축제의 성과 및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5] 박호표 외, “문화관광축제의 평가속성에 관한 연구”, 「관광정책학연구」, 제9권 1호, 2003
[16] 서울문화재단, 「서울문화재단 백서 2004~2006」
[17] 서울시립대학교, Hi Seoul Festval 평가 및 컨설팅 보고서, 2007
[18] 송시열, “광주전남지역축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지역발전연구, 2003
[19] 송태갑, “향토축제를 활용한 지역활성화 방안”, 2001
[20] 신홍철손수진, “관광도시 이미지 홍보 효과로서의 문화축제 제고방안: 하이서울페스티벌 참여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학회 문화관광연구 제7권 제1호, 2005
[21] 심상도, “축제와 지역관광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제22권, 제2호, 1998
[22] 안재석,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23] 이원태, 「한국의 지역축제-외국의 지역축제 개관」, 문화체육부, 1996
[24] 장은주, “지방자치단체 이벤트 사업의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1996
[25] 정강환, 「이벤트 관광 전략, 축제와 지역활성화」, 일신사, 1996
[26] 조명환, 「문화관광론」, 서울 백산출판사, 2000
[27] 야은숙, "민속축제의 문화관광자원화 방안 연구", 여행학연구, 1997
[28] 이장주, “지역축제의 이미지 측정척도 개발과 정용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1997
[29] 한국문화관광학회, 관광도시 이미지 홍보 효과로서의 문화축제 제고방안, 2005
<해외자료>
[1] Cox, H. The Feast of Fools: A Theological Essay on Festivity and Fantasy, 1995
[2] D. Getz. Festival Management and Event Tourism, 1996.
[3] Fallassi, A. Time out of Time: Essays on the festival, 1987
[4] Getz. D. Festival Management and Event Tourism, 1996.
[5] Getz. D. Festivals, Special Events, and Tourism,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1997
[6] H. E. Chacko & J. D. Schaffer. The evolution of a festival: Creole Christmas in New Orleans, Tourism Management, 1993.
[7] Ritchie, B. W. Assessing the Impact of Hallmark Events: Conceptual and research issues, 1984
[8] Ritchie. B. W. How Special are Special Events? The Economic Impact and Strategic Development of the New Zealand Masters Games, 1996
<참고 인터넷 사이트>
[1] 문화관광부 (www.mct.go.kr)
[2] 서울시 문화관광 홈페이지 (www.visitseoul.net)
[3] 서울문화재단 (www.sfac.or.kr)
[4] 하이서울페스티벌 홈페이지 (www.hiseoulfest.org)
[5]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www.kcti.re.kr)
[6] 한국문화관광학회 (www.kasct.co.kr)
  • 가격3,8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9.08.07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84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