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에 나타나는 다다이즘 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진에 나타나는 다다이즘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 방법
2. 연구 목적

Ⅱ. 본론
1. 20세기 초의 사진의 경향
2. 다다이즘의 성격
3. 다다이즘의 특징
1) 취리히 다다
2) 뉴욕 다다
3)베를린 다다
4)파리 다다
4. 다다이즘의 예술가
1) 마르셀 뒤샹
2) 만 레이(Man Ray)
3) 라즐로 모홀리 나기(Laszlo Moholy Nagy)
4) 존 하트필드(John Heartfield)
5. 사진 예술에 있어 다다이즘이 미친 영향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스트들도 포토몽타주를 사용하였으나 그는 이 형식을 자신만의 독특한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갔고 또한 정치적으로 이용함으로써 오늘날까지 정치적 포토몽타주의 전형으로 남게 된 것이다.
그가 주로 사용했던 방법은 그의 작업에 있어 핵심적인 것이었으며 예술가로서 그의 뛰어난 재능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것은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사진 이미지들과 텍스트를 대조적으로 결합시켜 기존의 이미지와는 다른 새로운 의미를 창출해내는 이미지와 문자의 변증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그가 드러내고자 하는 의미들을 은유적이고 풍자적으로 드러내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는 그의 작품 전체의 형식과 내용 모두에서 드러나게 되는데 특히, 주제적인 면에서는 현상과 실재 사이의 변증법적인 대조를 통해서 제 3의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변증법은 형식적인 면에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미지와 텍스트의 형식적인 대비를 통한 종합적 메시지의 도출이나 여러 가지 형식적인 요소들의 대비를 통한 다양한 연출은 정서적 충격을 유도하는 제 3의 종합적인 양식을 창출하였다고 할 수 있다.
5. 사진 예술에 있어 다다이즘이 미친 영향
종래에는 사진을 개인적인 감정이나 주관의 개입 없이 단지 있는 그대로의 대상을 그대로 찍어내는 것으로만 여겼었다. 하지만 다다이스트들은 모든 예술, 특히 회화나 사진의 표현양식을 자연과학적인 세계관과 시대성의 극복에 초점을 두고 새로운 표현 세계를 탐색하려 노력하였다. 그 결과, 그들은 단지 기계적인 특성을 가진 것으로만 간주되었던 사진술에 주체적인 해석과 사고의 영역을 부여함으로써 새로운 사진 예술의 장을 개척하였다.
사진을 하나의 기계 장치의 산물이라고 보는 인식과 과학적, 기계적 메커니즘의 결과라고 보는 사고방식, 인간 대신에 기계로 만드는 사물에 대한 표상이라는 생각에서 부터 그 속에 새로운 창조적 해석의 가능성을 발견한 다다이스트들의 눈은 예술가가 가져야할 자유롭고 형식에 구애되지 않는 자기 창조적인 영혼이 전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사진이 하나의 사물을 그대로 묘사하는 것보다는 예술적 포현의 영역으로 다루어지고 나아가서 사진이 중요한 표현양식의 하나로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것은 전통성에 대한 부정과 제도에 대한 반항정신에서부터 출발한 다다이즘 덕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산업 사회의 과학주의와 무능한 합리주의가 낳은 기계문명에 대한 다다이스트들의 혐오감은 제 1차 세계대전이라는 파국적인 상황에서 새로운 표현양식들로 표출되고 해소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예술적 충동이 오늘날의 사진 예술을 있게 한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1920년대 다다이즘을 기점으로 자연의 재현이라는 것에만 한정되어 있었던 사진술의 특징을 극복하고 사진이 가진 이미지의 표현양식으로서의 그 독특한 특징을 인식하게 됨으로써 단순한 시각의 경험 세계뿐만 아니라 인간의 내면 의식을 표현하기 위한 사진 예술의 창조적 전환이 촉발되게 되었다.
한편으로는 관습 파괴적이고 한편으로는 창조적이라고 할 수 있는 다다이즘의 세계관은 기존까지 전통적으로 고수되어 온 예술의 심미적 가치나 장르적 구별과 한계를 파괴하였고 이를 통해 사진 예술이라는 새로운 예술 분야를 개척할 수 있게 되었다.
이성과 기존의 전통적 가치관에 대해 반기를 들고 하나의 헤게모니가 된 예술에 대한 고정관념을 파기하여 새로운 예술 형식을 지향한 다다이즘의 근본정신은 단순히 예술 분야에만 한정되지 않고 사회, 정치 전 분야에 걸친 광범위한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애초에 어떠한 지배적이고 통일적인 이념이나 사고를 거부하였기 때문에 다다이즘을 어떠한 일정한 개념 아래 정리하고 정의내리는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이 예술 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과는 다름 방법론적 태도가 필요하다.
그저 커다란 맥락에서 본다면, 우연성에 의한 사실의 인식을 중요시 여겼던 그들의 관점을 따라가 볼 때, 일정한 개념 하에 모든 개별적 우연적 경험들을 추상하여 구태여 질서를 만들어냄으로써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혹은 진정한 미적 가치를 발견하려 한 시도가 곧 다다이즘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다다이즘의 구체적인 실천은 예술 장르와 형식에 대한 전통적 구분을 파괴하는 것으로 표출되었고 그 대표적인 것이 사진 예술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반성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관심은 마르셀 뒤샹의 레디 메이드(ready made)에서 출발하여 만 레이의 솔라리제이션, 라즐로 모홀리 나기의 포토그램, 존 하트필드의 포토몽타주 등으로 전개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초기 다다이즘적 자극과 발전을 계기로 현대의 사진 예술이 태동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단행본>
- 윤택기, 『나탄라이언스 사진가의 사진론』, 눈빛, 1993.
- 한스 리히터, 『다다』, 김채현 옮김, 미진신서, 1994.
- 임응식, 『사진사상』, 해뜸, 1996.
- 이토우 도시하루, 『사진과 회화』, 김경연 옮김, 시간과 언어, 1994.
- 카나마루 시게네 『예술로서의 사진』, 한정식 역, 1988.
- 이봉섭, 『사진 작품 분석과 사진가론』, 사진시대, 1989.
- 장 뤽 다발, 『사진 예술의 역사』, 박주석 역, 미진사, 1993.
- 던 에이즈, 『포토몽타주』, 박주석 역, 해뜸, 1994.
- 육명심, 『세계사진작가론』, 열화당, 1996.
- 성원경, 『시각과 언어Ⅰ』, 열화당. 1997.
- 고쿠보 아키라, 『현대 사진의 이해』, 김남진 옭김, 눈빛, 1999.
- Ernst Ⅱ Gombrich (1963). Meditasions on a Hobby Horse and Other Essay on the Theory of Art (London : Phaidon).
<논문>
- 안해순, 『Man Ray의 사진 특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92.
- 권수경, 『존 하트필드의 정치적 포토몽타주에 나타난 변증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98.
- 이성현, 『존 하트필드(John Heatfield)의 정치적 포토몽타주(Photomontage)』, 숙명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96.
  • 가격4,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0.07.03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2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