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무용사와 서양무용사 비교 (인도-카타칼리 중심으로 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무용사와 서양무용사 비교 (인도-카타칼리 중심으로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동양무용의 정의
1.1. 가장 일반적인 무용의 분류
1.2. 동양 무용[東洋舞踊]이란?

2. 동양무용과 서양무용의 차이점

3. ‘ 인도 ’의 <카타칼리 (kathakali)>
3.1. <카타칼리>의 정의
3.2. <카타칼리>의 특징
3.3. <카타칼리>의 공연형식

4. 춤에 나타난 동 · 서양의 정신

5. 참고자료

본문내용

로그 부분이 끝난 후에야 밤새도록 이어질 공연이 시작된다고 한다. 일단 공연이 시작되면 모든 관객들은 무용수들이 그들의 발 뒷꿈치, 발바닥, 발 옆을 사용하여 뛰고 걸어가는 강력함과 훌륭한 연기 속에서 펼쳐지는 리드미컬한 정밀함과 강렬함에 빠져들고 만다고 한다.
< ‘카타칼리’의 기본자세 >
주요 등장인물들은 독특한 형태의 커튼을 통해 무대로 나가게 된다. 등장인물이 처음 무대로 나갈 때에는 먼저 커튼 뒤에 서게 되며 그 커튼이 낮추어질 때 점차적으로 모습을 드러낸다. 그리고는 그 자신과 커튼 사이에 갈등이 있음을 알린다. 그는 드럼과 심벌 소리에 맞춰 여러 가지 춤을 춘다. 이때 관객은 그를 부분적으로만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관객의 호기심은 점점 고조되어 간다. 커튼이 치워지면서 그는 커튼과의 갈등 속에서 승리한 듯 영광스러운 포즈로 무대에 나타나게 된다.
다음 날 새벽에 이르러서 대단원의 공연이 끝나게 되면 곧이어 무용수 중에서 한 사람이 무대에 나와 독무를 춘다. 이 춤은 공연이 무사히 끝났음을 신에게 감사하고 관객에게 축복을 내리게 해 달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한다.
공연을 보고 난 관객들은 연기와 무용 사이, 멜로디와 리듬의 아름다움 속에서의 매우 훌륭한 조화를 느낄 수 있다. 전쟁 장면은 대단한 사실주의로 묘사되며 전쟁의 함성은 전사들에 의하여 행해진다. 때때로 사악한 성격의 악마적이고 복수심에 불타는 웃음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영웅적인 행동으로 공중 위로 뛰어 오르는 무용의 황홀한 곡예를 볼 수 있다고도 한다. 이렇듯 카타칼리의 모든 공연은 활력 있고 감동적이며 거대한 장관을 이루게 된다.
4. 춤에 나타난 동 · 서양의 정신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은 슬픈 일이 있을 때나 기쁜 일이 있을 때, 껑충껑충 뛰거나 이리저리 맴돌며 자연스레 춤을 추었다. 이러한 인간의 움직임은 가장 원시적이며 본능적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누구나 참가할 수 있는 집단의 즐거움으로써 춤은 육성되어 왔다.
여러 나라의 춤은 이러한 행위가 되풀이됨에 따라 일정한 기술과 질서를 지니며, 고정화된 춤의 패턴을 가지게 되었다.
과거에 각기 다른 문화에서 다른 물질생활과 정신생활을 향유하며 예술이 나타났는데, 동양이나 서양을 불문하고 지배계급으로부터 억압된 민중에게 있어서 춤은 즐거움이었다.
동양과 서양의 춤은 점차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유형과 특징들이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고대 문명의 춤을 보면 공통된 모습을 보이고 있기도 하다. 고대 문명의 춤은 신에게 바치는 종교적인 모습을 하고 있고 인간과 연결되어 생활의 한 부분이었다. 이러한 종교무용에 있어서 동·서양이 공통된 모습을 보인다 할 수 있다.
또한 그냥 춤을 추며 즐거워하는 것뿐 아니라 무엇인가를 표현한다는 것은 공통된 특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양에서는 정신생활과 연결되어 인간의 내면생활을 표현하는 무용이 고대에서부터 계속되어왔다. 그 결과 서양과는 개념도 형태도 다른 계통의 무용이 되었다.
서양의 무용은 종교에 반항해서 이루어진 것에 비해 동양의 민속무용은 종교무용 자체가 민중화되고 민속화 되어서 이어져온 것이다.
또한 서양무용은 대체로 표현이 주목적이 아니라 스스로 추고 즐기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지만 동양무용은 육체보다 영적인 면을 강조하여 정신적, 종교적인 측면에서 기도하고 갈구하는 선(禪)의 자세로 내향성 발전을 이루었다.
동양무용과 서양무용에 대하여 정리해 본 결과, 움직임의 특징으로만 보아도 그 속에 담긴 동·서양의 정신과 성향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하체를 이용한 동적인 활발한 움직임이 많은 서양무용은 대개 개방적이고 외향적인 성향을 지닌 서양인들의 자유스러운 정신이 반영되었다고 생각된다. 또한 특정한 날이 아니어도 마을 파티를 여는 등, 일상생활 속에서 파티문화가 자연스레 자리 잡혀 있는 서양문화에 영향을 받아 더욱 자유스럽고 활발한 분위기의 ‘자발적 무용’이 발달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된다.
그에 반해 움직임을 극히 제한하며 표현의 효과를 높이고, 주로 상체를 이용하는 정적인 동양무용에서는 종교에 대한 내용을 다루는 무용이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다. 스텝의 종류와 도약이 많은 서양무용에 비해 허리를 낮추어 중심을 낮게 하고 손의 표현에 중점을 두는 동양무용은 보편적으로 섬세하고 내향적인 성향을 지닌 동양인들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동양무용을 살펴보면 생활의 평화나 안녕, 자손 번영이나 곡물의 풍요로움 등 여러 가지 기원을 춤에 위탁하고 있으며, 인간의 힘이 미치지 않는 위대한 자연에 대한 위경의 마음을 나타내고, 신이나 선조에게 춤을 봉납하며 춤추는 것에 의하여 여러 신과 교류하려고 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을 보았을 때 동양인들의 종교에 대한 믿음이 일상생활 속에도 굳건히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렇듯 동양과 서양의 무용은 공통점과 차이점을 모두 내포하고 있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장르, 민족에 관계없이 동일 선상에 존재하며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달되어 가고 있다.
5. 참고자료
<단행본>
박금자, 『무용론』, S&D, 2008
오화진, 『舞踊文化史(무용문화사)』, 금광, 1987
현희정 역, 『무용학강의』, 무용교육연구회, 1991
<학위논문>
최혜정, “인도의 전통무용에 관한 연구 : Kathakali를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무용학과 석사학위논문, 1990
<인터넷 URL>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16770&cid=2930&categoryId=2930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596400&cid=2930&categoryId=2930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453331&cid=678&categoryId=678 (체육학대사전, 2000.2.25, 민중서관)
네이버 지식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21480&cid=200000000&categoryId=200003563
  • 가격2,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04.17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39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