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정의, 특징과 역사,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유래, 경기규칙,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 기술,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 다리기술, 한국 민속놀이 씨름 경기방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정의, 특징과 역사,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유래, 경기규칙,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 기술,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 다리기술, 한국 민속놀이 씨름 경기방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정의

Ⅲ.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특징과 역사
1. 씨름의 특징
1) 특징
2) 효과
2. 씨름의 역사

Ⅳ.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유래

Ⅴ.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경기규칙

Ⅵ.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기술

Ⅶ.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다리기술
1. 발목빗장걸이
2. 발등걸이
3. 차돌리기
4. 덧걸이

Ⅷ.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경기방식
1. 경기방식
2. 샅바매기
3. 경기시작
4. 경기시간
5. 승부
6. 징계
7. 심판

참고문헌

본문내용

뒤쪽으로 이동시키면 더 빨리 중심을 잃어 넘어진다. 그러므로 덧걸이 공격을 해 올 때 감긴 왼쪽 발을 오히려 상대가 당기는 쪽으로 끌려가 주면서 시계 방향으로 허리샅바를 당기고 엉덩이를 틀어 왼배지기를 하여 넘어뜨린다.
※ 이 기술은 상대의 중심이 꺾이지 않으면 바로 왼배지기 공격을 당하므로 키가 작은 사람에게 이 기술을 많이 한다.
☆ 바깥샅바 잡고 덧걸이(변화 1)를 하기도 한다.
Ⅷ. 한국 민속놀이(전통놀이) 씨름의 경기방식
1. 경기방식
개인전과 단체전 모두 맞붙기전(토너먼트)과 돌려붙기전(리그) 중에 하나를 택하여 경기를 치른다. 모든 경기는 3판 2선승제로 하는 것이 원칙이나 경우에 따라 5판 3 선승제나 단판승부제를 채택할 수 있다. 대진표는 각 팀 대표자의 입회 아래 추첨한다.
2. 샅바매기
샅바고리를 오른쪽 다리에 걸고 띠는 허리에 신축성 있게 매며, 띠와 고의 교차점은 오른쪽 대퇴부의 중심선에 와야 한다.
3. 경기시작
경기를 함에 있어 예의와 정정당당함을 가져 운동가의 본분을 지켜야 한다. 샅바를 잡을 때 오른쪽 다리를 뒤로 물리지 못하며 허리샅바는 중심선을 넘겨잡을 수 없고 다리샅바도 오른쪽 대퇴부의 중심선을 더 넘겨잡을 수 없다.
4. 경기시간
초등학교부와 중학교부는 1판을 2분으로 하고 2분 안에 승부가 없으면 1분 쉰 뒤 2분 동안 연장전을 한다. 고등학교부와 대학 및 일반부는 1판을 3분으로 하고 3분안에 승부가 없으면 1분 쉰 뒤 3분 동안 연장전을 한다.
5. 승부
경기 도중 무릎 이상의 몸이 바닥에 닿으면 진다. 경기 도중 경기장 밖으로 고의로 나가면 겨룰 뜻이 없는 것으로 판정하여 나간 선수가 진다. 경기 도중 상대방을 고의로 밀어내거나 자신이 고의로 경기장 밖으로 나가 유리함을 꾀할 경우에는 주의를 받는다. 경기 도중 기술에 의해 경기장 밖에서 승부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기술을 쓴 선수가 이긴다. 목을 조르거나 머리로 받거나 주먹으로 치는 등의 비열한 행위를 하면 진다. 3판 2 선승제에서 1판은 승부가 이루어지고 2판의 시간이 다하는 경우에는 1판에서 이긴 선수가 승자가 되고, 1판은 승부가 없고 2판은 승부가 있는 경우에는 2판을 이긴 선수가 승자가 된다. 1대1 동률이고 3판의 시간이 다하는 경우에는 주의나 경고를 받은 선수가 지고, 주의와 경고가 없을 때는 체중이 가벼운 선수가 승자가 된다. 돌려붙기전에서 2명이 동률일 경우에는 승자승으로 순위가 매겨지고, 3명 이상이 동률일 경우에는 판의 득실을 따지고, 득실도 같을 때에는 체중이 가벼운 순서로 순위를 정한다.
6. 징계
부정행위를 한 선수와 단체는 상벌위원회의 규정에 따라 징계를 받는다.
7. 심판
주심 1명과 부심 3명으로 구성한다. 주심은 경기를 원활하게 진행하고 승부의 판정을 빠르고 바르게 내려야 한다. 주심은 판정에 이의가 있거나 단독으로 판정이 어려울 때에 부심들과 합의하여 결정을 내려야 한다. 부심은 경기장 좌우측과 정면에 위치하며 주심의 판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부심은 주심에게 경기의 운영에 대한 제반사항을 건의할 수 있다. 선수는 심판을 존중해야 하며 판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참고문헌
1. 노진호(1984), 태권도. 씨름. 레스링, 금성출판사
2. 옥광 외 1명(2010), 씨름의 원류와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충북대학교평생체육연구소
3. 조선령 외 1명(2012), 씨름선수들의 스포츠자신감이 경쟁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
4. 최상수(1988), 한국의 씨름과 그네의 연구, 성문각
5. 한국문화컨텐츠진흥원(2007), 우리의 놀이문화 원형을 찾아서65- 씨름,아툰즈
6. 홍장표(1997), 씨름총론, 홍경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73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