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산성 향상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산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산성 향상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범위

Ⅱ. 본론
1. 컨테이너터미널의 개요
가. 컨테이너터미널의 정의
나. 컨테이너터미널의 시설
2. 컨테이너 터미널의 특징과 환경변화
가. 컨테이너 터미널의 특징
나. 환경변화
3. 컨테이너터미널 자원과 생산성 영향요인
가. 컨테이너터미널 자원과 종류
나.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영향요인
4. 부산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산성 향상방안
가. 부산항 터미널의 생산성
나. 하역생산성 향상을 위한 실증분석
다. 북항과 신항의 기능 포지셔닝
라. 부산항 환적 경쟁력 강화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은 향후 10년 이내 2만5천TEU~3만TEU까지의 극초대형선 등장을 예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극대초형선의 유치를 위한 항만 간의 경쟁은 이미 시작되었으며, 이를 위해 보다 효율적이고 고생산성을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하역장비의 개발, 터미널 내 시스템의 개선이 가속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동북아 물류시대에 맞춰 컨테이너 터미널의 흐름은 컨테이너 터미널의 민영화가 전문화로 확대되면서 민간의 효율성과 창의력이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에 적용되는 과정에 있다.
현재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에 있어서 세계 상위 10개 항만 중 7개 항만의 컨테이너 터미널이 동북아시아에 밀집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최근 이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업체의 점유율이 향상되고 있으며, 동북아시아에 위치한 우리나라 또한 이들과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또한 최근의 항만은 더 이상 고전적인 기능인 단순한 노드에서 탈피하여 공급사슬의 중심 연결고리로서 산업, 물류, 비즈니스의 공간인 동시에 물류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역할로 확대, 재편되고 있다.
심화되는 물류중심화 경쟁에 대비하고 항만의 대외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관리주체는 보다 능동적으로 항만 관리 운영의 선진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컨테이너 터미널의 생산성 향상방안을 살펴보았는데, 현재 부산항은 2012년부터 물동량의 축이 신항으로 넘어가고 있는 추세로서, 부산북항과 신항의 기능 포지셔닝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며 글로벌 선대 통합 등 정기선사별, Alliance별로 통합이 되어 협상력 우위에 서는 선사에 대응하기 위한 부산항 터미널 운영사들의 선석 통합 혹은 법인 통합을 통해 대선사 교섭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부산항은 휘발성 화물인 환적화물의 비중이 35% 이상으로 지속 성장세인 대중국 항만과 경쟁하기 위하여 환적화물 유치 및 전략적으로 수출입 화물 유치를 위한 국토해양부, 항만공사, 운영사의 Port Sales가 절실한 실정이다.
정부 및 유관기관의 지원과 함께 터미널 운영사 차원에서의 영업력 제고를 위한 하역 생산성뿐만 아니라 야드 생산성 등 터미널 생산성 향상을 위한 인고의 노력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산 A터미널의 실제 운영 데이터를 통해 확인된 하역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야드 관리를 통해 Rehandling 물량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야드 생산성을 위해 Turn Around Time 또한 줄여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Full on-dock 시스템인 부산신항 터미널의 실제 운영 데이터를 통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해보고 더 나아가 부산신항 컨테이너터미널에 기항하는 원양선사 및 Feeder 선사의 특성까지 고려한 고객별 Segment를 통한 고객 Needs를 파악해 볼 필요도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참고문헌
강정식(2008). 균형성과표와 품질기능전개도의 결합모형을 통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성과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국토해양부(2012). 항만운영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 제정을 위한 연구보고서
--------(2012). 부산항 환적경쟁력 강화방안.
김길수, 홍석암, 김웅연, 박용한(2011). 부산북항의 재활성화를 위한 전략 방안의 추출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27권 제2호. p.340
김윤홍(2012). 부산북항 터미널 생산성 향상을 위한 운영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해 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이곤(2008). 동북아시대 부산항의 항만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45.
김태일(2012). 정기선시장 경쟁구도 변화와 전망. KMI 현안분석.
쉬핑데일리, http://www.shippingdaily.co.kr. 2012. 5. 4.
윤동하(2013).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향상요인과 방안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재민(2013). 국내 주요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업체의 소유형태에 따른 효율성 방 안.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창주(2009). 선박대형화와 항만비용의 상호관계 비교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19
임성택(2003). 우리나라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찬혁, 윤영삼, 하명신(2015). 부산신항 및 북항의 발전과 조화. 연구포럼 항만물 류비전.
진형인(2005). 동북아 항만환경 변화와 물류중심추진을 위한 항만 정책방향. 한국 해양수산개발원
최상희(2014). 탠덤리프트 크레인 基盤의 컨테이너터미널 生産性 分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컨테이너터미널의 야드배치 형태가 터미널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2002). 우리나라 컨테이너부두 생산성 향상방안 연구. p.51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04). 결합생산성 분석방법을 통한 항만시스템 취급 능력 향 상방안
Drewry(2013). Global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Drewry Shipping Consultants(2013). Annual Container Market Review and Forecast - 2013. Drewry, London, United Kingdom.
UNCTAD(2013). Review of Maritime Transport 2013.
Murphy, P. R., Dalenberg, D. R., and Daley, J.M.(1989), “Assessing Internati
onal Port Oper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ibution and Materials Management, Vol. 19, No. 9, pp. 3-10.
Willingale, M. (1982) “Port-routeing decision making”, thesis submitted for degree of Ph. D., University of Southampton.
  • 가격4,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6.07.21
  • 저작시기201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60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