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뢰감 대 불신감
2,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
3. 주도성 대 죄의식
4、근면성 대 열등감
5, 자아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
6, 친밀성 대 고립성
7, 생산성 대 침체성
8, 자아통합 대 절망감
2, 자율성 대 수치심과 의심
3. 주도성 대 죄의식
4、근면성 대 열등감
5, 자아정체감 대 정체감 혼미
6, 친밀성 대 고립성
7, 생산성 대 침체성
8, 자아통합 대 절망감
본문내용
지 못하게 되면, 개인적 욕구나 안위가 주요 관심이 되는 자기도취의 상태에 빠진다. 이들은 자기 탐닉을 위한 것을 제 외하고는 누구에게도 무엇에 대해서도 관여 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여기에서 침체성이 나타난다 생산성이 결여된 사람들은 사회의 일원으로서 생산적으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일신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는 것이 되며, 인간관계는 황폐화된다.
8, 자아통합 대 절망감
생애주기의 마지막 단계(65세 이후)인 자아통합 대 절망감(integrity vs despair)은 인간이 자신의 거의 완성적 노력과 성취에 대해 반성하는 시기 이다. 흔히 이 시기는 모든 문화에서 노년기의 시작을 암시한다. 그들은 체력과 건강의 악화에 대해 적응해야 하고, 배우자와 친구들의 죽음, 특히 직 장으로부터의 은퇴 등에 적응해야 한다. 특히 은퇴는 수입의 상실과 함께 사회로부터의 '무용한 인간이 심리적 갈등을 불러일으키며, 이로 인해 상처를 입게 된다. 이러한 갈등을 겪으면서 노인들은 점차 젊은 날의 미래 에 대한 꿈으로부터 과거에 대한 회상으로 옮아간다. 에릭슨에 의하면, 성인의 이 마지막 단계의 특징은 새로운 심리·사회적 위기의 출현보다는 오히려 자아 발달의 전 7단계의 종합, 통합 그리고 평가 로 나타난다. 따라서 자아통합은 결혼, 자녀, 직업, 취미 등을 비롯해 모든 관점에서 자신의 인생을 돌이켜보고 “나는 만족스럽다”라고 확신하는 데서 생긴다.
이와는 반대로 자신의 인생을 실패의 연속이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경우, 황혼기는 이제 다시 시작하기에는 너무 늦었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자아통합의 결여나 상실은 죽음에 대한 감추어진 두려움, 되돌릴 수 없는 실 희망했던 것에 대한 끊임없는 미련으로 나타난다. 이것이 절망감이다 에릭슨은 인생에서 절망과 혐오를 느끼는 노인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뚜렷한 기분을 갖게 된다고 한다. 첫째는 인생이란 다시 살 수 없다는 후회와 두 번째는 부족함과 결함을 외부 세계로 투사(projection)함으로써 그것을 부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년기의 심한 절망감과 후회는 노인성 정신병, 우울증, 신경증을 앓기 쉬우며, 매우 심술궂고 과대망상의 증상을 초래한다고 한다.
따라서 이 시기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잘 극복하면 자아는 삶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혜(wisdom)라는 특질을 얻게 되지만, 위기를 적절히 극복하지 못하면 나약함, 즉 자신에 대한 경멸(disdain)을 경험하게 된다.
8, 자아통합 대 절망감
생애주기의 마지막 단계(65세 이후)인 자아통합 대 절망감(integrity vs despair)은 인간이 자신의 거의 완성적 노력과 성취에 대해 반성하는 시기 이다. 흔히 이 시기는 모든 문화에서 노년기의 시작을 암시한다. 그들은 체력과 건강의 악화에 대해 적응해야 하고, 배우자와 친구들의 죽음, 특히 직 장으로부터의 은퇴 등에 적응해야 한다. 특히 은퇴는 수입의 상실과 함께 사회로부터의 '무용한 인간이 심리적 갈등을 불러일으키며, 이로 인해 상처를 입게 된다. 이러한 갈등을 겪으면서 노인들은 점차 젊은 날의 미래 에 대한 꿈으로부터 과거에 대한 회상으로 옮아간다. 에릭슨에 의하면, 성인의 이 마지막 단계의 특징은 새로운 심리·사회적 위기의 출현보다는 오히려 자아 발달의 전 7단계의 종합, 통합 그리고 평가 로 나타난다. 따라서 자아통합은 결혼, 자녀, 직업, 취미 등을 비롯해 모든 관점에서 자신의 인생을 돌이켜보고 “나는 만족스럽다”라고 확신하는 데서 생긴다.
이와는 반대로 자신의 인생을 실패의 연속이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의 경우, 황혼기는 이제 다시 시작하기에는 너무 늦었다는 것을 느끼게 한다. 자아통합의 결여나 상실은 죽음에 대한 감추어진 두려움, 되돌릴 수 없는 실 희망했던 것에 대한 끊임없는 미련으로 나타난다. 이것이 절망감이다 에릭슨은 인생에서 절망과 혐오를 느끼는 노인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뚜렷한 기분을 갖게 된다고 한다. 첫째는 인생이란 다시 살 수 없다는 후회와 두 번째는 부족함과 결함을 외부 세계로 투사(projection)함으로써 그것을 부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년기의 심한 절망감과 후회는 노인성 정신병, 우울증, 신경증을 앓기 쉬우며, 매우 심술궂고 과대망상의 증상을 초래한다고 한다.
따라서 이 시기의 심리·사회적 위기를 잘 극복하면 자아는 삶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지혜(wisdom)라는 특질을 얻게 되지만, 위기를 적절히 극복하지 못하면 나약함, 즉 자신에 대한 경멸(disdain)을 경험하게 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자아심리이론(에릭슨), 인행사,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간행동과사회환경1B) 행동발달에대한 행동주의이론의 입장과요점을 설명하시오0k
[인간행동과사회환경]인본주의이론 - Rogers의 현상학이론과 Maslow의 자아실현이론에 대한 ...
[인간행동과사회환경]사회체계이론 - 일반체계이론과 브론벤브래너의 생태학이론 및 사회체계...
인간행동과사회환경 1B)행동발달에 대한 매슬로(A. Maslow)이론의 특징과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방어기제 -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인지 실례를 이야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자아심리이론 정리
인간행동과사회환경 - 인본주의이론 정리
인간행동과사회환경_여러분이 다양한 사람들과의 경험을 통해, 만일 이해되지 않는 사람들이 ...
[2017 인간행동과사회환경 D형] 행동발달에 대한 매슬로(A. Maslow)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을 설명한 이론을 설명하시오 - 인간행동
인간행동과사회환경)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프로이드 에릭슨 아들러의 이론 중 택 1하여 주요개념을 기술하고 그 이...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인간행동에 관한 주요 이론은 다음의 5가지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