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가사의 소설화 경향 분석 정리 (노처녀가, 덴동어미화전가 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후기 가사의 소설화 경향 분석 정리 (노처녀가, 덴동어미화전가 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가사의 서사 지향적 변모양상
1) 가사의 서정 장르로서의 위상
2) 가사의 서사적 변모 양상

Ⅱ. 본론
1. 소설화의 시기
2. 가사의 소설화의 사례
1) `노처녀가`의 소설화
2) `덴동어미화전가`의 소설화
3. 가사의 소설화의 양상
1) 가사의 소설적 변모
① 문제적 인물의 형상화
② 主인물 생애의 일대기화
2) 가사의 소설 전환
① 서사적 가사의 산문화
② 가사 뒷이야기의 허구화

Ⅲ. 결론
가사를 차용하여 소설을 창작해낸 이유

본문내용

열린 구조의 가사를 닫힌 구조로 변모시키는 데까지 진전된다. 이전의 가사가 발생된 갈등을 해소하지 못하고 막연한 기대로 끝나던 것을 갈등의 해소로 끝냄으로써, 조선후기 가사 담당층의 의지와 의식 또한 보다 적극적이며 진취적으로 변모했음을 짐작케 한다.
즉, 조선후기 가사 중 소설적 변모양상을 보이는 작품들은 전지적 시점의 사용, 상황 묘사와 장면 묘사의 교체, 닫힌 구조의 형성 등 다양한 서술 방법을 통해 소설과 같은 짜임을 갖출 수 있었다.
2) 가사의 소설 전환
① 서사적 가사의 산문화
서사적 가사를 산문화한 작품으로 '괴힝젼'을 들 수 있는데 이 작품은 서사적 가사 '복션화음록'을 산문화한 것이다. '괴힝젼'과 '복션화음록'은 그 서술방식이나 내용상 거의 차이점이 없고, 단지 '복션화음록'이 2음보마다 줄을 바꾸어 쓰고 있는데 비해, '괴힝젼'은 줄을 바꾸지 않고 그대로 연결해 쓰고 있으며 여러 곳에서 가사에서의 율격이 파괴되고 서술화 하는 변화가 보일 뿐이다.
월하의 슈노흐니 항아션녀 유품이오
월긔유회 뵈힝다니 직녀셩의 솜씨로다
열녀젼과 효경젼을 미민십셰 외와다고
힝동거지 쳐신범졀 그늬아니 층찬힝리 <복션화음록> 1면
월힝에 비단힝고 수녹키다 황잎에 슈법요 직여의 솜씨로다 녈여젼과 효힝젼을 십셰에 오여다니 부모공경이며 동긔유잎힝며 치산범졀이며 힝동거지을 뉘잎이 칭칭힝리요 <괴힝젼>1면
이와 같이 '복션화음록'에서는 거의 모두가 한 어절이 3-4음절로 되어 있고 두 구씩 짝을 이루고 있는 데 비해, '괴힝젼'에서는 우리말의 특성상 한 어절이 3-4음절로 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기는 하되, 한 어절에 5-6음절이 많이 나타나 율격이 파괴되며, 두 구씩 짝을 이루지도 않는다.
② 가사 뒷이야기의 허구화
1910년대를 전후해 많은 신작구소설들이 창작되었는데, 그 중 한 부류가 가사를 차용하거나 변용하면서 가사의 뒷이야기를 허구화한 소설들이다. '부용의 샹싶곡', '칭봉감별곡', '츄풍감별곡'들은 가사를 차용하여 작품 속에 사건 진행의 필수적 계기로 사용하기도 하며, '힝독각시젼'과 같은 작품은 가사를 主인물의 독백으로 변형하여 제시함으로써 사건의 발단으로 삼는다. 이 중 '츄풍감별곡'은 가사 제목이 그대로 소설 제목으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가사가 소설 창작의 주 모티프가 된 경우의 하나이다. 이 작품의 서술자가 밝혀 놓은 덧붙임말을 통해, 이 작품은 가사'추풍감별곡'이 뿌리는 없고 열매만 있는 것이 애석해 여러 가지를 참작하여 새로 만들어 낸 것임을 알 수 있다.
저작자 가로되 평양에 추풍감별곡이 류전하미 오래되 그 실사는 업고 감별곡만 잇스니 비유컨대 실사는 힝리요 감별곡은 열매가 되믈 애석하온지 오래다가 이저 문채에 천담함과 필법에 로둔함을 도라보지 아니하고 혹듯기도 하고 혹 책자에서 본거슬 참작하야 한 힝리를 맨드럿스나 (66면)
곧 소설 '츄풍감별곡'은 가사 '추풍감별곡'에 얽힌 뒷이야기를 소설로 꾸며낸 것으로, 소설 속에서 가사가 단순히 심정 고백의 차원이 아닌 아주 중요한 구실을 맡고 있다.
Ⅲ. 결론
가사를 차용하여 소설을 창작해낸 이유는 두 가지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가사의 독자를 소설의 독자로 쉽게 끌어들일 수 있다는 점이다. 가사 독자의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으며, 독자에게 이미 익숙해져 있는 가사적 서술과 여러 공식적 표현구를 사용함으로써 독자를 작품에 몰입하게 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둘째, 소설 작품을 단시일에 창작해야 하는 경우, 이미 존재하는 가사를 삽입하거나, 가사의 서술방식을 차용해 전개함으로써 즉흥 서술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상업적 대중소설의 성격을 띠고 있는 신작구소설에 가사차용소설이 많이 생겨났던 것은 바로 이러한 연유에서일 것이다.
*참고문헌
고순희,「노처녀가1 연구」, 『한국시가학회』, 한국시가연구, 2003
고혜경,「고전문학 <덴동어미 화전가>연구 」, 『한국언어문학회』, 한국언어문학, 1995
김기동,「가사의 소설화 시론」, 동국대논문집(3 4), 동국대학교, 1967
박일용,「노처녀가(1)연구」, 『조선후기 시가와 여성』, 월인, 2005
서영숙,「조선후기 가사의 소설화 양상」,『조선후기 가사의 동향과 모색』, 역락, 2003
성무경,「가사의 존재 양식 연구」, 성균관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이동찬,「가사의 서사지향적 변모양상」,『가사문학의 현실인식과 서사적 형상」, 세종출판 사, 2002
함복희,「<덴동어미화전가>의 서술특성과 주제적 의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어문연 구 117권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7.12.07
  • 저작시기201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02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