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평가선별] 영국(TNA)의 평가제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록평가선별] 영국(TNA)의 평가제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록평가선별]

영국(TNA)의 평가제도



1. 머리말

2. 영국기록관리 체계와 공공기록물법
1) 영국기록관리 체계
2) 공공기록물법(Public Record Act)

3. 그리그 위원회와 시스템
1) 그리그 위원회의 성과
2) 그리그 시스템의 주요내용과 변화
3) 기록물의 평가선별 과정

4. 기존 평가시스템의 유지 및 변화
1) 그리그시스템의 현재적 의미 및 기능평가
2) 평가정책(2004)
3) OSP(Operational Selection Policy : 실행선별정책)

5. 맺음말

본문내용

문서화된 영국의 경제사회민주적 상황, 여덟째, 일곱 번째 환경에 대한 국가의 영향을 주제로 한다.
TNA는 이 8개의 범주를 구체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다시 7개의 세부기준을 제시하였다. 부처의 역사, 정책 및 법령의 수립수행해석, 유명사건 내지 인물, 정치경제법률사회적 역사 내에서의 주요사건 내지 동향, 과학기술의학적 연구 및 개발, TNA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정보의 활용상 보다 합리적으로 판단되는 지역에 관한 정보, 인구학의학사회문화경제적 통계 내지 계량정보가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부 기준은 케이스별로 기록을 선별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기록관리 환경에서는 새로운 수집방법이 필요하다. 다시 말하면, 당대의 사회상을 폭넓게 보여줄 수 있는 기록을 대상으로 수집계획을 세우는 것이고, 이것이 상술한 8개의 주제범주이다. 이것을 구체적으로 현실화시켜 실질적으로 작용이 가능하게 만든 것이 바로 OSP인 것이다.
5. 맺음말
기록의 생산환경 변화는 평가선별 과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방대한 양의 기록과 전자기록 생산 환경에서 개개의 기록물을 평가하여 무엇을 남기는가 보다는 무엇을 버려야 하는지에 고민이 옮겨갔다. 영국도 또한 비껴갈 수 없는 환경에서 당대의 기록을 선별평가 제도에 있어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영국의 평가제도를 살펴봄에 있어 먼저 2장에서는 공공기록물법에서 수집과 선별 평가 조항에 집중하여 살펴보았다. 공공기록물법은 기록물관리의 최소한의 법규로 일반적인 사항을 다루고 있다. 공공기록물법에 영향을 준 정보자유법은 공공기록물의 생산과 보존, 이관, 공개, 평가, 폐기 등 기록물 라이프싸이클에 맞춰 합리적인 절차를 통해 이루어져 정보의 투명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평가제도에 있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할 법령이다.
3장에서는 그리그위원회와 시스템의 기능평가 방법을 살펴보았다. 기록의 양이 증가하면서 복사본의 증가 등 기록물 관리에 있어 폐기에 대하여 고려하게 되었다. 평가선별에 있어 또 다른 변화는 전자기록의 등장이었다. 전자기록은 논리적으로 존재하며 무한 복사되고 수정될 수 있는 특성으로 폐기에 있어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그시스템은 생산 후 5년 된 기록을 1차 평가하고, 1차 평가의 주체는 업무부서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종이기록이 부서에서 업무적 활용이 종결된 파일을 1차 평가할 때 해당조직에서 보유기간이 지난 파일은 더 이상의 평가 없이 즉시 폐기되거나 폐기를 위한 별도의 표시를 해놓게 된다. 최초 시기로부터 25년이 지난 파일은 2차 평가를 받게 된다. 2차 평가는 각 부처별 기록센터의 평가자가 TNA의 감독 하에서 진행하며 ‘역사적’ 가치가 있는 파일을 결정하게 된다. 역사적 가치가 있다고 판정된 파일들은 TNA나 지정된 보존소로 이관된다.
4장에서는 그리그시스템의 의미와 OSP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평가방법에 있어 생산자와 아키비스트의 역할 분담이 잘 나타나 있다. 1차 평가에 있어 진본성과 불편부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업무의 결과물인 기록을 생산자가 평가를 하게 하여 당대의 생산자가 남긴 기록에 충실할 수 있게 했다. 그리그시스템은 아키비스트의 역할이 수동적인 것이 아니라 기능평가의 범주나 역사적 가치에 대한 평가에 있어 적극적인 지도와 개입을 할 수 있게 하였다.
OSP는 평가선별 작업에서 당대의 사회상을 다 담아 낼 수 없는 부분을 TNA의 가안을 통해 전문가 집단과 시민단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이 8개의 범주를 구체적으로 판단하기 위하여 다시 7개의 세부기준을 제시하였다.
기록의 평가선별의 주체자와 ‘무엇을 남길 것인가?’의 방법에 대한 논의와 실천을 영국의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각 국가마다의 특성들이 있겠지만 영국의 젠킨슨주의적 기록전통 속에서 새로운 방법을 접목시키며 진보하는 모습은 아직도 진행형이라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홈페이지를 통한 접근 www.nationalarchives.gov.uk/recordsmanagement
- Appraisal Policy 2004
- Appraisal Policy Background Paper - GRIGG System and Beyond
- Business Classification Scheme Design 2003(BCS toolket)
- Disposition Policy
- Public Records Act
- Freedom of Information Act
- Operational selection policies
- Duncan Simson & Susan Graham, "Appraisal and Selection : New Approach", Comma, 2002
Hilary Jenkinson, A Manual of Archive Administration, rev.2nd. ed(London: Percy lund, Humphries & Ltd., 1996(정부기록보존소, 『힐러리 젠킨슨의 기록관리편람』, 2004.
Luciana Duranti, "The Concept of Appraisal and Archival Theory", American Archivist 57(Spring 1994)(오항녕 편역, 『기록학의 평가론』, 진리탐구, 2005, pp.207~304
국가기록원, 『주요 외국이 기록관리 현황』, 국가기록원, 2005.
이상민, 「서구의 국가기록보존법 원칙과 기록보존관리체제」, 『기록보존』10, 정부기록보존소, 2004.
김명훈, 「공공기록물의 평가체제에 대한 이론적 검토-선별 방식 및 가치 범주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6, 한국기록학회, 2002.10.
.............,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평가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11, 한국기록학회, 2005.4.
.............., 「전자기록물의 평가체제 구축을 위한 기반연구」, 『기록보존』18, 국가기록원, 2005.
유혜림, 『전가기록 환경의 도래와 영국 평가수집제도 개편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관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2.
국가기록원, 『주요 외국이 기록관리 관련 법령』, 국가기록원, 2005.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4.12.26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17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