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자기 박물관 견학후기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자기 박물관 견학후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 론

Ⅱ. 본 론
1. 한국 도자기의 개괄
2. 도자기의 구분과 형태 가. 도자기의 형태별 구분
3. 도자기에 명칭을 붙이는 방법
4. 도자기의 성형
가. 성형이란 ?
나. 성형의 종류
5. 도자기의 발달과정
가. 토기
나. 청자
(1) 청자의 구분
(2) 청자의 문양
(3) 문화재로 지정된 청자
다. 분청사기
(1) 분청사기 유약
(2) 분청사기의 문양과 장식 기법
(3) 문화재로 지정된 분청사기
라. 백자
(1) 조선 백자의 모양과 빛깔
(2) 백자의 구분
(3) 문화재로 지정된 백자

Ⅲ. 결 론

본문내용

업화가)의 그림이나 문인화, 산수화 등도 청화백자의 문양이 되었다. 중국의 청화백자와 달리 간결하고 기품있는 문양과 시원한 여백으로 청정한 멋을 풍기는 것이 한국 청화백자의 특징이다.
(나) 철화백자
조선시대의 백자에 그림을 그려 넣어 장식한 것을 화사기(畵砂器)라 한다. 화사기에는 진홍빛 무늬의 백자진사, 시원한 쪽빛의 청화백자, 멋스러운 고동색이 도는 백자철화 등이 포함된다. 철화문 백자는 백토로 그릇을 만들고 초벌구이를 한 다음, 표면에 산화철로 문양을 그리고 그 위에 다시 백자 유약을 입힌 것이다. 청화백자는 수입품인 회청을 원료로 써야 되므로 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그 대신 만들었던 것이 철화사기였다.
(다) 진사백자
진사는 도자기에 구리로 착색한 진홍빛의 잿물을 올린 것으로 진사만 단독으로 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청화, 철화와 같이 하는 경우가 많으며 양인각을 곁들이고 형태도 독특하게 만들어 다양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백자진사는 다른 자기들에 비해서 희귀한 편이다. 진사가 들어가면 화사한 맛이 있긴 하나 그렇다고 해도 지나친 기교나 현란함은 보이지 않는다. 즉, 백자의 은은한 바탕색과 배치되지 않게 하면서 산뜻한 변화를 주는 데서 그친다.
(라) 상감백자
순백의 순도 높은 태토의 그릇 표면에 문양을 새기고 안에 적토를 메꿔 넣은 다음 그 위에 백자 유약을 바르는 방법으로 문양이 검은 색을 띤다. 이 백자 상감은 고려의 상감 기법을 이어받은 것으로 15세기에 전성기를 이루었다.
(3) 문화재로 지정된 백자
(가) 국보
①백자철화포도문호(白磁鐵畵葡萄文壺)국보93호(서울시)
②백자철화매죽문대호(白磁鐵畵梅竹文大壺)국보166호(서울시)
③백자진사매국문병(白磁辰砂梅菊文甁) 국보 168호(서울시)
④백자상감연당초문대접(白磁象嵌蓮唐草文大접)국보175호(서울시)
⑤ 청화백자<홍치명>송죽문호(靑華白磁<弘治銘>松竹文壺) 국보 176호(서울시)
⑥ 청화백자매죽문호(靑華白磁梅竹文壺) 국보 219호(경기도)
⑦ 청화백자매죽문호(菁華百磁梅竹文壺) 국보 222호(서울시)
① 백자박산향로(白磁博山香爐) 보물 238호(서울시)
② 백자투조모란문호(白磁透彫牡丹文壺) 보물 240호(서울시)
③ 청화백자철사진사국화문병(靑華白磁鐵砂辰砂菊花文甁) 보물 241호(서울시)
④ 백자상감모란문매병(白磁象嵌牡丹文梅甁) 보물 345호(서울시)
⑤ 청화백자송죽인물문호(靑華白磁松竹人物文壺) 보물 644호(서울시)
⑥ 백자청화매죽문병(白磁靑花梅竹文甁) 보물 659호(서울시)
⑦ 청화백자운룡문병(靑華白磁雲龍文甁) 보물 785호(경기도)
⑧ 청화백자운룡문병(靑華白磁雲龍文甁) 보물 786호(경기도)
⑨ 청화백자군어문호(靑華白磁群魚文壺) 보물 788호(경기도)
⑩ 백자상감모란엽문편병(白磁象嵌牡丹葉文扁甁) 보물 791호(서울시)
⑪ 백자반합(白磁飯盒) 보물 806호(서울시)
⑫ 백자상감모란문병(白磁象嵌牡丹文甁) 보물 807호(서울시)
⑬ 백자병(白磁甁) 보물 1054호(서울시)
⑭ 백자태항<내외호>(白磁胎缸<內外壺>) 보물 1055호(서울시)
⑭ 청화백자철화삼산뇌문산뢰(靑華白磁鐵畵三山雷文山뇌) 보물 1056호(경기도)
청화백자초화문표형병(靑華白磁草花文瓢形甁) 보물 1058호(서울시)
청화백자난초문지통(靑華白磁蘭草文紙筒) 보물 1059호(경기도)
백자철화승문병(白磁鐵畵繩文甁) 보물 1060호(서울시)
백자철채각배(白磁鐵彩角杯) 보물 1061호(서울시)
V. 백자
백자철채포도문항아리(白磁鐵畵葡萄文壺) 청화백자매죽그림팔모병(靑華白磁 梅竹文角甁)
청화백자박쥐文鉢 청화백자매조죽그림항아리 청화백자진사채복숭아연적
Ⅲ. 결 론
인류는 수만년 전에 불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점토를 굽는 방법을 체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흙을 빚어 그릇을 구워 만드는 솜씨를 8000여년 동안이나 익혀 내려왔다. 지혜가 발달함에 따라 표면을 장식하여 아름다움을 표현했고 아울러 여러 가지 형태를 고안하였으며 유약을 발라 용기로서의 기능을 발전시켰다. 한국인은 도자 공예 기술이 남달리 뛰어난 민족임에 틀림이 없으며 고려 시대는 상감청자, 조선시대에는 분청사기와 백자를 만들어 오늘날 일본 문화의 정신적인 모체가 되었다.
사실 우리나라가 과거의 유구한 5000년의 역사와 문화의 전통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휼륭한 문화적 유산을 현대에 이어받지 못하고 도자기 제작에 필요한 제작 기술이나 요업 재료의 판매나 구입 등이 이미 서구의 여러나라들이 국내의 도자 재료의 각 분야에 매우 근접해 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가공된, 유약 재료와 규격 제품으로 만들어진 전기가마 및 개스가마 등은 비록 도자기는 유약과 점토만을 생각하기 쉬우나 이런 것들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기초과학 이론이 수반이 되지 않으면 안될 것이며 여러분야의 학문에서 이런 분야의 동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전통 공예 분야의 하나인 도자기 교육은 재료나 제작 과정 등이 극히 전문성을 요구하는 한 분야로 특수성과 전통의 맥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실제 일선 교육 현장에서 전통 도자기 교육은 전문성에 대한 선입견 때문에 학습지도의 어려움이 따르는 단원으로 교사의 이론과 실기의 한계, 교구의 부족과 활용의 복잡성으로 가장 중요시 다루어야 할 도자기 공예의 제작 과정, 기법, 작품 감상 등이 극히 단편적인 짧은 이론 교육에 지우치고 있는 실정이어서 전통 도자기의 교육적 활용과 실용적인 생활 문화의 적용과 보급을 본 경기대학교 도자기 직무연수과정을 통하여 기대해 본다. 더더욱 일선 현장 교사들의 분발을 촉진한다.
ⅳ느낀점과 교훈
사진은 더욱더 많이 있지만 전부 올리진않았습니다,
그중에서 제일 느낌이가는 사진으로만 몇장 올렸습니다,
도자기는 우리나라의 역사와 우리나라의 아픔
그리고, 선조들의 살아온 방식을 그대로 옅볼수있었습니다.
바쁜생활속에서 찾을수있었던, 잠시나마의 휴식이
이로인해 저에게 하나의 휴식 또는 안식처로 찾아왔습니다.
앞으로 가끔 시간날 때 한번더 찾아보는것도 좋을 것 같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정말 멋진 도자기의 역사 ,
그곳은 정말 뜻 깊은 곳이였습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8.03.30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4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