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사』 「악지」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고려사』 「악지」의 구성
Ⅱ-1. 아악
Ⅱ-2. 당악
Ⅱ-3. 속악
Ⅲ. 『고려사』「악지」 속악조의 내용
Ⅳ. 나오며

본문내용

, 장단, 풍입송 등 6곡
군왕사모
동백목, 정과정 등 2곡
국운, 태평성대
송산, 야심사 등 2곡
고을 송축
양주, 정산, 금강성 등 3곡
부부 및 여인의 정절
월정화, 원흥, 거사련, 제위보, 안동자청, 예성강 등 6곡
인생, 자연
총석정, 한송정, 한림별곡, 자하동 등 4곡
색을 경계함
삼장, 사룡 등 2곡
기타
장생포, 사리화, 벌속조, 장암, 오관산 등 5곡
- 삼국속악
구분
작품
태평성대
동경(一), 동경(二) 등 2곡
고을 찬양
장한성, 무등산, 내원성 등 3곡
부부 및 남녀의 정절
선운산, 방등산, 정읍, 지리산, 명주 등 5곡
기타
목주, 여나산, 이견대, 연양 등 4곡
이처럼 송도, 기쁨의 정서표출, 회한, 기원 등 다양한 주제들이 작품에 드러난다. 작품들을 살펴보면 민요성이 짙은 작품들이 많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고려시대에 민속가요 등을 수집하여 기록하는 제도가 있었기 때문이라 추측된다. 작자군을 살펴보면 작자의 이름이 명기된 것, 民 등으로 막연하게 표시한 것, 작자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작자층 분포의 이유를 민속가요 수집 제도에서 찾아볼 수 있겠다.
Ⅳ. 나오며
『고려사』「악지」는 속요를 논하는 데 있어 빠트릴 수 없는 중요한 문헌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정작 『고려사』 자체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고 있었다. 지금까지『고려사』「악지」의 구성과 그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고려사』「악지」는 조선의 시각에서 고려의 것을 바라보며 편찬한 것이라 가치관의 차이 때문에 작품의 일부가 수정되거나 그 주제를 바꾸고, 또 우리말로 쓰여 있다 하여 원문이 실리지 못했다거나 하는 한계도 지니고 있다. 하지만 『고려사』「악지」는 아악, 당악, 속악조로 이루어져 있는 등 중국의 음악 뿐 아니라 우리의 음악이 함께 다루어졌다는 의의를 지니고, 특히 속악조의 경우 속악가사들과 이에 대한 해설문들이 함께 실려 있기에 고려 때 불렸던 속요의 연구에 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자료이므로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를 해나가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김선기, 「《高麗史》<樂志>의 俗樂歌詞에 관한 종합적 고찰」, 『韓國 詩歌硏究』 권 13, 한국시가학회, 2003.
여운필,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에 대하여」, 『논문집』제 59집, 부산여자대학, 2009.
전용우, 「《高麗史》<樂志>의 史學史的 檢討」, 『湖西史學』권 14, 호서사학회, 1986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1.24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2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