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악지 속악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사』악지 속악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고려사』악지 속악편

3. 속악가사의 특성

4. 『고려사』악지 속악편의 구성 및 내용

5. 나가며

본문내용

이름이다. 향악무라고도 한다. 형식과 절차를 중히 여기는 당악정재(唐樂呈才)에 비하여 자연스럽고 간단한 형식을 가졌다.
라 한다.
다음으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속악」부는 맨 앞에 ‘악기’를 적은 다음 ‘무기’, ‘동동’,‘무애’ 등 3편의 향악정재를 수록하고 있다. 이어서 ‘서경’등 30편(‘동동’포함)의 향악곡을 실었는데 한문가사인 ‘풍입송’등 6곡을 제외하고는 모두 ‘作歌之音’만 적었을 뿐 가사내용은 싣지 않고 있다. 그리고 고려악 다음에는 백제의 ‘정읍’등 3국의 속악 14곡을 수록하였다. <동경(東京) 계림부>, <동경(東京)>,<목주(木州)>, <여나산(余那山)>,<이견대(利見臺)>,<장한성(長漢成)> 등 6곡이 신라의 속악이고 백제의 속악은 <선운산<선운산(禪雲山)>, <정읍(井邑)>, <지리산(智異山)>, <무등산(無等山)>, <방등산(方等山)> 등 5곡이 있으며 고구려의 속악으로는 <내원성(來遠城)>, <명주(溟州)>, <연양(延陽)> 등 3곡이 있다. 이또한 우리말 노래였기 때문에 가사는 싣지 않았다. 속악조의 맨 끝에서는 원구 사직 태묘 선농 선잠 문선왕묘의 의례와 왕비 왕태자 왕희(王姬) 를 책봉하는 의례에서 속악을 쓰는 절도를 설명한 다음에, 속악과 관련된 중요한 여덟 가지의 시실에 대한 기사를 실어 두었다.
속악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볼 때 다양한 주제를 나타냄으로써 백성을 교화하는 것이다. 즉, 군주송축·임금사모·정절·수신·효심 등 주로 백성을 교화시킬 수 있는 곡이 대부분이었다.
고려 향악의 이러한 성격 때문에 조선조에도 그대로 전례될 수 있었다. 태종 2년 6월에 제정한 용악절차에는 ‘풍입송’ ‘자하동’ ‘금강성’ ‘오관산’ ‘방등산’ ‘정읍’ ‘동동’등의 곡이 군주가 사신들에게 베푸는 연향악으로 채택되었고 이 중 ‘풍입송’은 당시 선비들 사이에서 격조 높은 고상한 음악으로 널리 알려졌다고 한다.
다음은 「속악」부에 실린 30곡 내용별로 구분한 표이다.
내용
악곡
군공 성인축도
動動, 西京, 大同江, 長湍, 處容, 風入松
군왕사모
鄭瓜亭, 冬栢木
태평성대
松山, 夜深詞
고을송축
楊洲, 定山, 金剛城
부부 및 여인의 정절
月精花, 元興,居士戀, 濟危寶, 安東紫靑, 禮成江
인생, 자연
叢石亭, 寒松亭,翰林別曲,紫霞洞
색을 풍자하여 경계
三藏, 蛇龍
기타
長生浦, 沙里花, 伐谷鳥, 長巖, 烏冠山
5. 나가며
본 발제에서는 『고려사』악지 속악편의 성격과 작품의 내용 및 속악가사의 전반적인 특성까지도 살펴보았다. 『고려사』악지 속악편에는 속악가사와 그에 관한 해설문이 실려 있어 고려가요 정체 파악에 소중한 자료가 된다. 앞으로 속악편에 기록된 내용이 다른 기록물과 상충되는 문제는 또 다루어져야 할 과제이다.
□참고문헌□
조동일, 한국문학통사2, 지식산업사, 2005
김선기, 『 고려사 』악지의 속악가사 (俗樂歌詞)에 관한 종합적 고찰, 한국시가연구, 2000, Volume 8, p. 33
최미경, 「高麗史 樂志 所載 高麗俗謠의 性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11.24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2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