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인합일적 사유모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천인합일적 사유모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는 것이다.
다른 한편 유생의 이해는 귀족의 정치 권력과 대항해야 되는 측면에서 황제의 이해와 동일하다. 이러한 목적에서 유생 또한 황제 지배체제를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고, 이 필요는 인식론적으로 ‘제한된 통일’의 순간으로 해석될 수 있다.(君權天命神授說) 하늘로부터 존중을 받아 천하를 얻어서 왕이 되는 것은 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히 되는 것이다. 이것은 왕이 명을 받았다는 징표이다. 천하의 모든 사람들이 마치 부모에게 돌아가 순종하듯이 한 마음으로 그에게 돌아가 순종한다. 그렇게 해서 하늘을 감응시키면 하늘은 상서로운 징조를 드러내 보인다. 아울러 동중서는 천자는 하늘로부터 명을 받느니만큼 당연히 하늘을 본받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방립천, 『중국철학과 이상적 삶의 문제』, 예문서원, 1998년, p.90
천(天)과의 대립은 인(人)의 상대적인 자기주장이다. 여기서 동중서가 인간의지의 자율성을 강조하는 전형적 유학자임을 알 수 있다. 지식의 권력화 과정 즉 황제지배체제가 확립되는 과정에서 권력은 황제-귀족-유생으로 삼분된다. 유생은 귀족을 견제하기 위하여 황제와 연대하고(합일 즉 군권천명신수설), 동시에 황제의 자의적 권력행사에 대항하는(대립 즉 재이설과 중민사상) 이중적 태도를 취한다. 현실정치의 측면에서 천인합일론은 합일의 과정과 대립의 순간이 공존하는데 이것은 인식과 실천의 양면적 관계를 대변한다.
6. 결론
천지인은 하나가 되어 전체를 형성한다는 동중서의 유기체적 사유는 천지인이 무조건적 통일을 이루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목적에서 제한적으로 통일되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 목적은 황제의 ‘주술적 카리스마’에 의한 지배가 아니라 합법적인 제도의 윤리화를 통해 황제지배를 제한하려는 의도였다. 인간에게 법칙과 명철을 부여한 ‘천’ 그 자체는 의덕(懿德)과 지철(智哲)의 근원이 됨을 뜻한다. 이것은 ‘천’이 도덕적 형이상자의 뜻을 지닌다는 표현이다. 김득만, 『중국 철학의 이해』, 예문서원, 2000년, p. 25
즉 윤리적 제도화를 통해 황제에게 부과되는 명목적 책임과 책임의식을 강조한 것은 왕권제한이라는 의미를 지녔다. 그러나 제한적 통일로 보면 이는 역으로 황제권 유지의 의미도 동시에 지니고 있다. 이 지점이 황제의 이해와 관방학적 지위를 차지하여 확고한 지배세력으로 부상하려는 유생의 이해가 합치되는 지점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인식대상의 천(天)과 인식주체인 인(人)의 상관관계는 현실정치를 매개로 그 의미가 변화하였다. 동중서의 천인상응설은 천과 인 사이의 제한적 부정과 제한적 통일이 공존하는 이중적 구조였다. 이 관계를 한 대의 황제지배체제의 삼각구조 속에서 분석해 보았고, 인식론적 분리 · 미분리의 양면성도 함께 살펴보았다고 할 수 있다.
※ 참고문헌※
1. 박상환, 『고쳐읽는 중국철학 이야기』, 도서출판 상, 2011년
2. 김득만, 『중국 철학의 이해』, 예문서원, 2000년
3. 방립천, 『중국철학과 이상적 삶의 문제』, 예문서원, 1998년
4. 풍 우, 『동양의 자연과 인간 이해』, 논형, 2008년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12.13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39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