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대 2019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고전소설강독] 경판본 고소설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을 비교 분석해 보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통대 2019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고전소설강독] 경판본 고소설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을 비교 분석해 보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경판본 고소설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 비교 분석
1) 창작의도 및 주제
2) 시대적 배경
3) 등장인물
4) 서사 구조
2. 박태원 「홍길동전」의 의의와 평가
3. 박태원 「홍길동전」의 한계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등장하기를 마음속으로 기대하고 있다는 점에서 박태원의 「홍길동전」은 그 가치가 매우 높음에 틀림없다.
3. 박태원 「홍길동전」의 한계
박태원의 「홍길동전」이 갖는 한계는 두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1) 신분제도에 대한 홍길동의 고뇌 미흡
경판본 고소설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은 서로 다른 주제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홍길동이 서자출신이라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경판본 고소설에서 홍길동은 결국 병조판서에 이르면서 자신 문제를 제기했던 신분제도의 한계를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이와는 달리 박태원의 「홍길동전」에서는 중종반정 이후 홍길동이 서자출신이라는 자신의 신분적 한계에 대해 극복하였는지에 대한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즉, 조선시대의 신분제도에 대한 홍길동의 고뇌가 해결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박태원의 「홍길동전」은 경판본 고소설과 비교하여 한계를 갖고 있다.
(2) 개연성 결여
또한 박태원의 「홍길동전」에서는 중종반정으로 인해 연산군이 물러나게 되었다는 사실을 서술하지만 이러한 혁명에 홍길동과 활빈당은 무관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 부분은 서사 구조 내내 혁명의 의지를 불태웠던 홍길동의 모습과는 매우 다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종반정과 홍길동의 연관성을 기록하지 않은 것에 대해 박태원 스스로도 한계를 인식하고 있다. 그는 「홍길동전」에서 허구성보다는 역사적 사실을 강조하고 싶었기에 결국 홍길동이라는 인물의 역할을 결말에 가서는 축소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에 대해 작가는 소설 속에서 다음과 같이 고백하였다.
“더구나 결말에 이르러서는 작가자신이 크게 불만이다. 모처럼 홍길동이란 인물을 살려보고자 붓을 들었던 노릇이 결말에 이르러 아주 죽이고 말았다. 나는 혼자 생각이거니와 언제고 다시 기회가 있다면 좀 더 나은 홍길동전을 써볼까 한다.” 정현숙(2013), 고전 다시 쓰기의 의미 : 김유정·박태원의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語文學報. 제33집, 158쪽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박태원의 「홍길동전」은 경판본 고소설과는 차별성을 갖기 위해 역사적 사실을 강조하였지만 그로 인해 정작 홍길동이라는 인물이 신분제도에 대해 갖고 있었던 고뇌에 대해서는 자세히 다루지 못했다는 부분에서 한계를 갖고 있다. 또한 역사적 사실을 강조한 나머지 스토리 전개와는 무관하게 홍길동과 활빈당의 혁명의지가 실제 중종반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고 있다. 만약 이러한 스토리가 변형되어 홍길동이 실제 중종반정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그로 인해 신분제도의 한계를 벗어나 요직에 오를 수 있었다면 박태원의「홍길동전」이 보다 완성도가 높아지진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 대목이다. 하지만 박태원은 자신의 소설의 완성도를 위해 역사적 사실을 뒤집고 싶지는 않았기에 결국 「홍길동전」은 두 가지 한계를 안게 되었다.
Ⅲ. 결론
박태원의 「홍길동전」은 1947년에 쓰였다. 1947년 박태원이 「홍길동전」을 창작한 이유는 무엇일까? 혹자는 박태원이 「홍길동전」을 창작한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창작 의도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한다. 박태원의 「홍길동전」이 “창작될 당시는 민족의 비극적 상혼이 마음 깊이 자리 잡고 있었으면서도 한편으론 미래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 차오를 때이기도 했다. 그렇기 때문에 이때에는 타락한 봉건왕조에 대항하여 고통 받는 백성들을 구원하고 새 사회를 건설하려는 역사소설” 이문규(2009), 허균·박태원·정비석 <홍길동전>의 비교 연구, 국어교육. 제128호, 632쪽
이 많이 쓰이던 시기였다. 이러한 점에서 박태원은 「홍길동전」을 통해 불합리한 사회의 모습을 고발하고 이를 개혁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전달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박태원 「홍길동전」은 지금도 그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전통소설을 재창작함과 동시에 해당 사회의 문제의식을 소설을 통해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박태원의 「홍길동전」은 문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 역시 매우 높은 작품이라 평가할 수 있다.
참고자료
이문규(2009), 허균·박태원·정비석 <홍길동전>의 비교 연구, 국어교육. 제128호
정현숙(2013), 고전 다시 쓰기의 의미 : 김유정·박태원의 「홍길동전」을 중심으로, 語文學報. 제33집
박태상(2017), 박태원의 삶과 문학, 한국문화사
김진석(2015), 한국모더니즘 소설연구, 국학자료원
방민호 외(2010), 박태원 문학연구의 재인식, 예옥
정현숙(1993), 박태원문학연구, 국학자료원
  • 가격4,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9.03.12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6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