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의 위기와 문화연구 - 분과학문 사이의 단절을 횡단하는 공존의 학문을 위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문학의 위기와 문화연구 - 분과학문 사이의 단절을 횡단하는 공존의 학문을 위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현재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 한국문화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요인들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고, 타문화권과의 교류 속에서 상호간 발전적인 소통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 그 속에 시대가 필요로 하는 진정한 디지털과 문화융합의 의미가 담겨있다고 할 것이다.
4. 문화연구의 시작은 ‘근대성’과 역사에 대한 성찰로부터
기본적으로 소외되고 배제된 계층과 계급에 대한 관심으로 태동된 ‘문화연구’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그리고 예술 사이의 학제간 소통을 가능하게 할 것이고, 대중문화에 대한 비판적건설적 시각을 제공할 것이다. 비록 대중사회가 익명성과 불안정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타자와의 합리적 관계설정은 가장 핵심적인 문제이다. 학문, 예술 그리고 문화 등 모든 인간의 의지적 그리고 감성적 행위는 다원화되고 다양한 사회속에서 타자와의 거리를 합리적으로 조절하는 노력과 무관할 수가 없다. 분과학문이 갖는 장점 또한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그속에 내재한 지식과 권력의 관계를 ‘민주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권위적이며 엘리트적 속성을 비판해야 한다. 쉽사리 기득권을 포기하지 않을 수 있는 구조가 존재하는 한 소외된 계층과의 의사소통은 단절될 수밖에 없다. 여기서 인문정신은 그것에 대한 철저한 비판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철학과 인문학의 위기도 이점과 관계가 깊다. 예술 또한 배타적 재도적 구조 속에서 벗어나 보다 대중적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고급예술을 부정하자는 것이 아니라 대중문화와 보다 긴밀하게 상호 연계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문화연구를 공통분모로 삼는 우리의 문제는 무엇인가? 어떤 시각과 방향으로 ‘문화연구’를 수행할 것인가?라는 문제의식은 기본적으로 근(현)대성과 역사에 대한 성찰에서 시작되어야만 할 것이다.
♣ 문화입국은 이론적 문제보다는 실천 문제에 더 가깝다. 거시적이고 전략적인 명제보다는 미시적인 민생에 관한 명제이기도 하다. 하나의 학술적 목표에 그치지 않고, 향후 10년간 해야 할 국가의 행동강령이다. 문화입국은 국가의 발전전략일 뿐만 아니라 특히 구체적인 실천의 의미를 내포한다.
【참고문헌】
문화코드 어떻게 읽을 것인가?
-문화연구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한울
문화원형 콘텐츠의 재발견, 우동우 지음
문화산업의 이해, 김재범 지음
디지털과 문화융합, 임준철 지음
대중문화와 뉴미디어, 강현구,김종태 지음
문화입국, 샹용 지음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존 스토리 지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9.03.30
  • 저작시기201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94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