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우리말의역사]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0 우리말의역사]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을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국어사의 시대 구분 방법
  2.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
    1) 고대 국어
    2) 중세 국어
    3) 근대 국어
    4) 개화기 국어
  3. 요약 및 시사점
    1) 고대 국어
    2) 중세 국어
    3) 근대 국어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시대 이후 만주 일대와 한반도에 자리를 잡은 우리 민족의 언어는 대체로 북방의 부여계 언어와 남방의 한계 언어로 나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 뒤 이들 언어는 고구려어, 백제어, 신라어로 분화되어 공통점과 함께 방언적 차이점을 가진 언어들로 발전했을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백제, 신라가 중앙집권 체제를 갖추기 시작할 무렵부터 국가적 차원에서 한자어를 사용하는 양이 급격히 증가하였을 것이다. 대표적으로 향찰을 들어 볼 수 있는데, 향찰은 한자의 음과 뜻을 빌려 우리말의 형태와 의미 요소를 전면적으로 기록하는 표기 체계이다. 겉으로 보기엔 한자를 나열해 놓은 것처럼 보이나 실제 신라인들은 이것을 보며 한자로 읽은 것이 아니라 우리말로 읽었다. 한자를 빌려 쓸 수밖에 없었던 상황에서 우리 조상들이 고안해 낸 기록 방식으로 가장 종합적인 체계를 갖춘 것이라 할 수 있다.
2) 중세 국어
중세 국어 시기는 국어의 전면적 문자화라는 숙원을 훈민정음의 창제로 달성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는 한자 차용 표기법들로 우리 국어를 표기하려던 노력이 중세 국어 시기로 접어들면서 훈민정음의 창제로 완전히 이루어진 것이다. 훈민정음은 그 독창성과 과학성으로 우리 역사상 가장 위대한 문화유산 중 하나이기도 하다. 훈민정음과 그것으로 표기된 옛 국어의 자료를 매개로 우리는 중세 국어의 모습을 상세하게 알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3) 근대 국어
근대 국어 시기에는 주요 특징을 통해 보았듯이 방점이 완전히 소실되었고 16세기 후반부터 동요를 보이던 성조가 사라져 우리나라의 중앙어에 성조가 완전히 없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음운이 완전히 소실되었고 표기법상에는 계속 남아 있어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의해 폐지될 때까지 쓰였다. 이런 근대 국어 시기때 가장 눈여겨 볼만한 것은 한글 사용의 폭이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한글로 쓴 소설 문학이 대중들에게 인기를 끌고 한글을 사용하는 계층의 사회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이러한 현상은 한글이 세력을 확장한 것을 보여 주는 것으로 훈민정음 창제 이후 세기에 걸쳐 한글 문헌과 한글 사용이 확대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해준다.
Ⅲ. 결 론
본문에서와같이 고대 국어에서는 주로 차자 표기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고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는 자음에 있어서 ‘ㅿ, ㆁ, ㆆ, ㅸ’의 변화, 모음에 있어서 ‘ㆍ, ㅔ, ㅐ’의 변화를 음운론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어휘에선 외래어의 확대, 한자어의 확대가 주를 이루었는데, 특히나 문법에서는 높임법과 의문문, 주격 조사 등에 대한 변화가 있었고 표기에서는 이어적기, 거듭 적기, 끊어 적기 등에 대한 변화가 주를 이룬다.
국어의 시기별 변천은 우리말이 변화해 온 모습을 살피고 국어의 정체와 그 본질을 깨달아 현대 국어의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교육적 의미가 있다. 또한, 그 변천 과정에 녹아있는 민족정신을 계승하여 국어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교육적 의의가 있다. 물론 국어의 역사와 변화에 대한 논의는 음운, 어휘, 의미, 문법 등의 각 학술 분야의 성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전제가 충족되지 못했기 때문에 국어의 역사에 대한 시대 구분 문제는 여전히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다. 그러나 만일 국어의 역사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해서 그 내용을 학습하지 않는다면 선인들이 사용했던 우리말에 대한 실체를 파악하지 못함은 물론 현대 국어의 실상을 학습하는 데에도 많은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국어의 역사에 대한 정확한 시대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더라도 현재까지 이루어진 다양한 문헌 결과를 적절히 활용하여 그 역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 하겠다.
Ⅳ. 참고 문헌
1. 김경아(2019), 국어의 역사 (음운과 문자), 한국문화사
2. 심효진(2015), 국어사 단원의 구성 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3. 김은미(2012), 2007년 개정 10학년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국어사 단원 분석,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4. 허재영(2008), 국어의 변화와 국어사 탐색, 소통
5. 진정아(2006), 국어사 교수-학습 방법 연구 (고등국어(하)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전분대학교 교육대학원
6. 네이버 지식백과, 고대국어 [古代國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7. 네이버 지식백과, 국어학 [Korean Linguistics] (학문명백과 : 인문학, 조경순)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0.02.28
  • 저작시기2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52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