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방법론3)청소년 학교폭력과 관련한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연구계획서(서론, 문헌고찰, 연구의 기대효과, 참고문헌)를 작성하시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조사방법론3)청소년 학교폭력과 관련한 연구주제를 선정하여 연구계획서(서론, 문헌고찰, 연구의 기대효과, 참고문헌)를 작성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학교폭력의 개념
3.학교폭력의 특성
4.학교폭력 가해경험
5.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연구 주제)
6.학교폭력 가해학생을 위한 기존 프로그램의 고찰
7.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처 방안
8.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이야기치료 프로그램
9.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의 기대효과
10.결론
11.참고 자료

본문내용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공격성, 공감능력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러한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청소년
의 대체로 부정적이었던 자아정체감에 긍정적인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둘째, 이야기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정체감의 하위영역인 독특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값이 사전검사 점수평균값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즉 스스로 인지하는 자아 독특성이 계발되었다.
셋째, 이야기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정체감의 하위영역인 미래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값이 사전검사 점수평균값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즉 자신의 미래에 대한 희망적 지각을 유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배적인 문제이야기를 해체하고 현재는 보이지 않지만 자신의 관점을 미래로 전환하여 자신이 선호하는 정체성을 쓰는 과정을 통해 미래에 대한 희망을 고취시켰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이는 새로운 이야기를 창조하는 대안이야기 과정이 자신에 대한 잘못된 지각을 바꾸고 보다 나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준다는 Kottman(1990)의 견해와 부합된다.
넷째, 이야기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정체감의 하위영역인 가치에 대해 조사한 결과 사후검사 점수의 평균값이 사전검사 점수 평균값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즉,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잊혀졌던 자신의 긍정적 자원을 발견하고 자신에 대한 상승적 예측을 하도록 하였다. 이는 근본적으로 문제이야기를 자신과 분리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결과를 찾는 행위로부터 가능하였던 것으로서, 긍정적 자원 발견, 독특성 탐구, 미래계획 탐구 등이 서로 독립된 실체가 아닌 긴밀한 연결 관계에 있는 것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특히 문제의 영향력과 정체성 영역조망을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가족과의 복합적인 상호관계를 탐색하여 가족의 정서적 지원을 발견하고 자신의 신념과 가치가 어디서 왔는지도 알게 되고 가족을 비롯하여 중요한 주변사람들이 소중함을 깨닫고 독특한 결과를 찾는 과정에서 자신의 긍정적인 가치를 발견하여 가치가 상승되었다고 추측한다.
다섯째, 자아정체감의 하위영역인 자율성, 사회성, 사회 적응력 및 자기 수용에 대해서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가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몇몇의 참여자들은 집단 상담을 통해 비슷한 문제로 고민하는 구성원들에게 공감과 새로운 정체성을 지지하는 경험을 통하여 사회성과 사회 적응력 등이 상승되었으며, 문제 영향력 탐구 및 가족과의 상호작용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부모님과 가족 구성원들에게 미안한 감정을 느끼고, 자신의 행위와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을 지려는 자기 수용적 태도를 보였으며, 아울러 이러한 ‘가족과의 연결 고리’가 강한 대상일수록 위의 효과들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 진행과정에 따른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제시될 수 있다.
첫째, 자신이 곧 문제임을 동일시하여 내면화하였던 부정적인 정체성에서 벗어나 그 문제와 자신을 분리하여 이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이는 종전까지는 해당 학생들이 문제에서 비롯한 사회적 편견 및 억압의 맥락들을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스스로의 낙인으로 삼고 이로부터 비롯된 방어 기제적 행동으로서 문제 행동을 더욱 유발, 합리화 하는 것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둘째, 단순히 문제를 객관화하고 이를 따로 떼어서 조망하는 것에서 벗어나, 가족과 문제와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었다.프로그램이 진행되면서 해당 학생들은 점점 가족에게 미안한 감정을 느끼고 자신을 사랑하는 부모의 이해와 지원, 그리고 그러한 지지의 소중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셋째, 과거의 문제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꿈꿀 수 있었다.이는
과거 문제에 매몰된 자아정체감에서 벗어나, 스스로 긍정적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새로운 자아정체감을 가짐으로써, 과거와 분리된 희망적인 미래 계획을 설계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높은 희망 수준을 보이는 아이들은, 차후에 학교에 복귀하여서도 자신의 문제적 과거와 단절을 하려 할 것이고,이는 해당 학생들의 학교 폭력 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은 학교폭력 가해경험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의 인식수준을 높여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돕는 실천적 프로그램이라는 점에서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11. 참고자료
고미영(2017)이야기치료와 이야기의 세계』.서울:청목출판사.
김동은 (2015). 학교폭력 사안처리와 관련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대응 양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경 (2016). 사회적 지지와 귀인 성향이 또래 괴롭힘 가해 및 피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순(2007)청소년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연구.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변성숙변국희안해용(2018). 학교폭력솔루션. 경기: 도서출판 좁쌀한알.
로레인 수투츠만 암스투츠 (2015). 한영선 역. 피해자와 가해자를 대화의 장으로 초청하기-피해자 가해자 대화모임. Korea Anabaptist Press.
최은영(2017).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영유아기 인성교육 강화방안. 서울: 유아정책연구소.
김용수, “알기 쉬운 학교폭력성폭력 관련 법령의 이해”, 진원사, 2017.
문용린이승수, 「학교폭력의 현황과 과제」, Issue Paper, 한국교육개발원, 2017.
왕건환김성환박재원이상우정유진(2018). 학교폭력으로부터 학교를 구하라. 서울: 에듀니티.
김지연(2015). 학교폭력 및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도연(2012)이야기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수진.정원철(2015)초등학생의 폭력피해 관련 변인데 대한 국내 연구메타분석.중앙대학교 한국교육 문제 연구소
김은주(2016)초등학생의 교실관리 지각에 따른 학교폭력의 차이.한국초등교육
  • 가격4,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0.03.09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61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