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사건 배경 및 전개과정과 제주 43사건 이후 상황분석 및 느낀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 43사건 배경 및 전개과정과 제주 43사건 이후 상황분석 및 느낀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제주 43사건 배경과 전개과정

2. 제주 43사건 피해규모 분석

3. 제주 43사건의 의문점

4, 제주 43사건 이후 상황분석

5. 결론 및 느낀점

본문내용

그들이 왜 죽어야 했는지는 이유를 알 수 없다.
(2) 가시리 마을학살
1948년 12월 22일 가시리 주민들을 집결시킨후 호적을 대조하여 한사람이라도 없으면 ‘도피자 가족’이라 지목하여 모조리 죽이고 가족중에 한사람이 없는 경우 대신 그 부모나 형제를 죽였는데 이것을 ‘대살’이라 불렀다.
(3) 촌 마을학살
1949년 1월 17일 해안마을에서도 집단 학살이 자행되었다. 이 사건은 마을 어귀에서 토벌대 2명이 무장대의 습격을 받아 죽으면서 발생했다. 토벌대는 이 마을 주민들을 ‘공비와 내통했다.’라는 명목으로 운동장에 집결시킨 후 차례로 총살하였다. 늦게 도착한 상급 지휘관의 명령으로 중단되기는 했지만 이때 400여명의 주민들이 억울하게 죽임을 당했다.
이 문제를 처음으로 다루었던 존 메릴(john merrill)은 사망자가 3만명, 즉 제주도민의 10%가 사망하였다고 보고하였고 군사학자 밀레트(allen r. millet)는 15000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3. 제주 43사건의 의문점
제주4.3사건의 성격 규정과 관련해 핵심적인 사안이 바로 남로당 중앙당의 지령과 개입설이다. 그동안 경찰과 군을 중심으로 한 한편에서는 ‘남로당 중앙당 지령에 의한 4.3폭동’으로 규정하고 4.3사건이 전개되는 과정에서도 남로당 중앙당의 개입이 이뤄졌음을 제기했었다. 이에 대해 좌파쪽 자료와 일부 4.3연구자 등 다른 한편에서는 ‘좌파세력을 압살하기 위한 유언비어’로 규정하고 ‘남로당 제주도당 자체의 무장봉기론’으로 맞서왔다. 이런 대립은 4.3폭동에 대한 과잉 진압의 명분으로 이용하고자 했던 측면과 군경의 과잉 진압을 합리화하기 위한 조작이라는 반대논리로 비화되기도 한 핵심 쟁점이었다. ‘ 제주4.3진상조사보고서’는 결론적으로 4.3과 관련된 국내외 각종 자료와 문건을 망라해 수집, 확인한 결과 남로당 중앙당의 지령이나 개입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와 증언은 찾지 못했다고 밝힘으로써 일단락됐다.
4, 제주 43사건 이후 상황분석
(1)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
제주 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명예회복에관한특별법에 따라 제주4·3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희생자 유족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2000년 8월 28일 출범 된 기구이다.
위원장은 국무총리가 담당하고 있다. 왜곡된 부분들을 바로 잡고 있으며 관련 책 발간 및 유적지 복원 및 유해 발굴 사업을 담당 하고 있다.
(2) 대통령의 사과
2003년 10월 31일 고 노무현 대통령이 4.3 사건 위령제에 참석 하여 \'국가권력에 의해 대규모 희생\'이 이뤄졌음을 인정하고 제주 도민에게 사과 하였다.
5. 결론 및 느낀점
흔히 제주4.3사건은 진행 중이라는 표현을 한다. 여전히 우리는 제주 43사건의 피해자수가 얼마나 되는지 정확히 모르며, 유족들의 대한 피해 보상도 제대로 안 되어있다. 대통령의 공권력 횡포, 미군의 보복……. 제주도라는 한 작은 섬에서 일어난 이 비극이 하루 빨리 조사가 완료되어 종결되었으면 하고, 가족을 잃은 유족들이 받은 상처도 하루빨리 나았으면 좋겠다.
  • 가격3,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09.25
  • 저작시기2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7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