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대 국어학개론 기말시험)국어의 음운규칙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형태소 훈민정음의 자음자와 모음자의 제자원리 다음 진술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설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송통신대 국어학개론 기말시험)국어의 음운규칙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형태소 훈민정음의 자음자와 모음자의 제자원리 다음 진술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어의 음운규칙에 대해서 설명하시오.(10점)
2. 형태소에 대해 설명하시오.(10점)
3. 훈민정음의 자음자와 모음자의 제자원리에 대해 설명하시오.(10점)
4. 다음 진술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설명하시오.(각 2점)
5.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아니다.
(15) 상위어는 항상 하의어를 의미적으로 함의한다.
상하관계는 이행적 관계이고 일방함의 관계가 성립하는 특성이 있다. 예를 들면 ‘동물-새-매‘의 관계를 보면, 동물과 새, 그리고 새와 매는 상하관계로 이어진다. 또한 매는 새를 함의하지만, 새가 곧 매는 아니기 때문에 상위어인 새는 하위어인 매를 함의하지 못한다. 즉, 하위어는 상위어의 의미 내용을 함의하지만 상위어는 하위어의 의미를 함의한다고 볼 수 없는 것이다.
(16) 중세국어는 신라어를 근간으로 하기 때문에 신라어도 중세국어와 마찬가지로 ‘평음-유기음-경음’의 삼분대립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국어에는 된소리 계열이 존재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 경음이 존재했다면, 중국 중고음의 전탁계열이 동음에 경음으로 계열로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탁은 고대국어에 원칙적으로 평음으로 반영되었다. 또한 한자 차용 표기에서도 된소리의 표기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통해서도 고대국어에서는 경음이 없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중국 중고음의 차청자가 일부는 유기음으로 대부분은 평음으로 반영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신라어에 유기음이 있었다 해도 매우 미약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17) 중세국어에서 모음 ‘ㅐ, ㅔ, ㅚ, ㅟ’는 단모음으로 발음되었다.
15세기 국어에서 단모음은 ‘ㆍ ㅡ ㅣ ㅗ ㅏ ㅜ ㅓ’ 등의 7개였다. 그러나 모음 ‘ㆍ’는 16세기에 제2음절 이하에서 소실되고 18세기 후반에는 어두 음절에서도 소실되면서 완전히 사졌다. ‘ㆍ’의 소실 이후 제1음절의 이중모음 ‘ㆎ’가 ‘ㅐ’로 변했고, 18세기 말엽 ‘ㅐ, ㅔ’는 각각 []와 [e]로 단모음화되었다. 다만, ‘ㅚ, ㅟ’의 단모음화는 아직 일어나지 않고 있다.
(18) ‘사, 우우, 여름, 노피’은 중세국어에서 모두 명사로 쓰인 단어들이다.
사, 여름(열+음, 實)은 용언의 어간에 명사파생 접미사 ‘(/으)ㅁ’가 붙어서 파생된 명사이다. ‘우우’ 또한 ‘우웃-’과 명사 파생 접사 ‘-이’의 결합이다. 반면, 노피’(높+이)는 파생 부사이다. 파생 명사는 ‘높+ → 노’이다.
(19) 근대국어의 문법적 특징 중 하나는 현재시제의 선어말어미가 ‘’ 하나로 통일된 것이다. 후기 중세국어에서 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로는 현재는 ‘--’ , 과거는 ‘-거-’, ‘-아/어-’, ‘-더’ 등이고, 미래는 ‘-리-’가 있다. 즉 근대국어 이전부터 현재시제 선어말어미는 ‘’ 이다. 다만, 중세국어의 현재 시상 선어말 어미 ‘’와 정동사 어미 ‘-다’의 결합인 ‘다’는 근대어에서 모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서는 ‘-ㄴ다’로, 자음으로 끝난 어간 뒤에서는 ‘-는다’로 된다.
(20) ‘상형문자, 음절문자, 자모문자, 단어문자’ 중 대표하는 언어단위가 가장 작은 문자는 음절문자이다.
음절문자는 글자 하나하나가 언어 단위 중 음절을 나타내 주는 문자이고, 음소문자(자모문자)는 글자 하나하나가 음소, 즉 자음과 모음을 따로 분절하여 나타내 주는 문자를 의미한다. 즉, 음절문자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것이 음소문자이다. 한글처럼 음소 하나에 글자 하나씩을 만드는 음소문자는 음절문자보다 글자 수가 훨씬 줄고 체계도 아주 간명해진다. 따라서 음소문자는 문자 중 가장 작은 언어 단위를 대표하는 문자라고 할 수 있다.
5. 참고문헌
이진호(2014). 국어 음운론 강의 [개정판]. 삼경문화사.
이익섭. 국어학개설 [3판| . 학연사.
조오현(2010). 자료로 찾아가는 국어사. 박이정.
이기문(2006). 국어사개설. 태학사.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0.10.07
  • 저작시기202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74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